【인천=뉴시스】김재경 기자 = 가정에서 무분별하게 버려지고 있는 폐의약품의 처리에 대한 주민 홍보 및 체계적인 처리기준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인천시 산하 군구 및 약사회 등에 따르면 가정에서 쓰다 남은 의약품은 대부분 일반쓰레기와 함께 버려지고 있다.

특히 유통기간이 경과된 물약의 경우 하수구나 변기에 무분별하게 버려지고 있어 수질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기준 인천지역서 수거된 폐의약품은 총 8028㎏으로, 서구가 가장 많은 1952㎏, 다음이 남구 1800㎏, 부평구 1732㎏, 계양구 805㎏, 연수구 770㎏ 등의 순이다.

이 같은 폐의약품은 가정에서 불용약을 분류하면 약국이나 보건소, 약사회 등에서 수거 1년간 보관후 지정된 폐기물 처리업체가 처리한다.

하지만 수거된 폐의약품의 폐기가 연 1회 처리되다 보니 폐의약품이 많을 경우 수거기관(보건소 등)의 공간부족으로 보관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수거 주무기관들은 시 전체를 관할할 수 위탁 수거업체를 선정해 수거처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구청 관계자들은 "보건소 등에 수거·보관된 폐의약품을 시 전체를 관할하는 위탁 수거업체를 선정해 정기적으로 수거·처리 할 수 있도록 처리절차 개선이 필요하며 이와 관련 정부차원의 폐의약품 처리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약사회는 "일부 소비자들은 남은 약을 약국으로 가져오는 것 자체를 이상하게 여기고 있으며 일부는 새 의약품으로 교환이 가능한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도 있다"며 "폐의약품 처리와 관련해 지속적인 주민홍보가 필요하며, 폐의약품 처리 기간과 절차 간소화 및 예산지원 등 체계적인 폐의약품 처리기준 마련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민들은 가정내 폐의약품 수거 처리에 대한 폭넓은 홍보가 있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남구에 사는 주민 A씨는 "폐의약품 수거에 대한 홍보부족으로 대부분 가정에서 폐의약품이 일반쓰레기와 함께 버려지고 있다"며 "환경오염 방지와 주민건강 증진을 위해 가정내 폐의약품 수거·처리에 대한 보다 폭넓은 주민홍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kjk0017@newsis.com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