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은 최근 5년간(2007~2011년) 땀띠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7년 3만1711명이던 진료환자가 지난해 3만9040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5.3% 증가했다고 밝혔다.
땀띠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 역시 2007년 4억9000만원에서 2011년 6억원으로 약 1.22배 가량 늘었고,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한 급여비 또한 연평균 5.7%씩 상승했다.
땀띠 환자의 병원 방문을 월별로 분석해 보면 7월 또는 8월 연간 최고 방문환자수를 기록했고, 전체 방문횟수 중 48%가 여름철인 7~8월에 집중됐다.
실제로 지난해 1월 땀띠 환자수는 1068명인 반면 7월 방문환자수는 1만961명으로 10배 이상 급증했다.
연령별로는 10세 미만이 전체 진료환자의 73%인 2만8575명이었으며, 이 중 77%인 2만2027명은 0~2세 영아로 전체 진료환자의 56.5%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김수민 교수는 "땀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시원한 옷차림을 하고 자극물질이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또 비타민C 복용이 도움이 될 수도 있으며 에어컨을 사용해 땀이 더 이상 나지 않게 하거나 선풍기로 땀을 증발시키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channa224@newsis.com
정옥주 기자
channa224@news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