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이 2007~2011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제왕절개분만 인원은 2007년 인구 10만명당 1105명에서 지난해 1109명으로 연평균 0.2%, 자연분만 인원은 1659명에서 1684명으로 연평균 0.5% 늘었다.
연령별로는 인구 10만명당 분만인원이 가장 많은 30~34세의 경우 자연분만이 2007년 5169명에서 2011년 5718명으로 연평균 2.7% 늘었고, 제왕절개분만은 각각 3494명에서 3628명으로 연평균 1.1% 증가했다. 같은 시기 25~29세는 자연분만 인원이 연평균 4.6% 줄었고, 제왕절개분만 인원은 연평균 4.5% 감소했다.
또 자연분만은 40~44세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13.7%)을 보였고, 다음으로 35~39세가 11.2%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자연분만과 달리 제왕절개분만은 19세 이하에서 11.4%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40~44세가 10.7%의 증가율로 뒤를 이었다.
아울러 지난 5년간 인구 10만명당 제왕절개분만은 자연분만 보다 분만인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40세 이후부터는 제왕절개분만이 자연분만 보다 더 많았다.
자연분만과 제왕절개분만 총진료비(비급여 제외) 역시 늘었다. 자연분만은 2007년 1429억원에서 2011년 1998억원으로 연평균 8.9% 증가했다. 제왕절개분만은 각각 1587억원에서 2011년 1786억원으로 연평균 3.1% 늘었다.
한편 전체적으로 보면 자연분만 인원은 2007년 22만6000명에서 2011년 22만5000명으로 연평균 0.1% 줄었다. 제왕절개분만 인원 역시 15만1000명에서 2011년 14만8000명으로 연평균 0.4% 감소했다.
연령별로 보면 자연분만 인원은 30~34세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25~29세, 35~39세 순이었다.
연도별로 보면 30~34세의 비중은 2007년 45.7%에서 매년 늘어나 지난해에는 전체 자연분만 인원 중 약 50.2%를 차지했다. 반면 25~29세 연령층의 자연분만 비중은 2007년 37%에서 매년 감소하다 지난해 26.9%까지 떨어졌다.
연령별 제왕절개분만 인원도 30~34세가 가장 많았고 뒤 이어 35~39세, 25~34세 순이었다. 특히 30세 이상 산모들의 제왕절개분만 비중은 2007년 70%에서 매년 증가해 2011년에는 79.3%를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이산희 교수는 "현재 연간 자연분만과 제왕절개분만 모두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며 "특히 대학 졸업 후 사회활동이 왕성한 25~29세 연령대 분만이 감소한 것을 볼 때 초혼 연령의 증가, 다산모의 감소, 남녀 성비의 불균형과 더불어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가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19세 이하 연령에서 제왕절개분만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적절한 피임교육의 부재와 함께 청소년들의 개방적인 성문화가 청소년기 임신을 증가 시킬 수 있다"며 "특히 이 시기 임신에는 임신부 빈혈, 태아성장제한, 조산 등의 산과적 합병증이 많은 시기여 상대적으로 제왕절개로 분만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channa224@news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