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한국금연연구소는 군대 PX가 담배회사의 판촉 각축장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했다. 사진은 시중의 편의점에 입점해 있는 담배의 모습이다. 김연환 기자 kyh@newsin.co.kr
【서울=뉴시스헬스】김연환 기자 = 군대 PX가 담배회사의 판촉 각축장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9일 한국금연연구소에 따르면 육군복지근무지원단의 군납담배선정심의를 앞두고 담배회사들 간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번 담배선정 심의를 통해 다수 업체의 일부 품목이 군납심의에 선정되면 군 PX를 통한 담배 선택의 폭이 넓어져 장병들의 흡연을 조장하게 될 수 있다.

한 통계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07년 기준 군인, 전·의경 의무복무 중인 흡연자는 25만3000명으로 51%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돼 육군복지근무지원단의 이번 군납 담배선정심의에 어느때 보다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반면 이명박 정부는 '2009년도 예산안' 발표를 통해 10곳의 부대를 선정, 연 10회의 금연교육을 실시해 2만여 장병의 금연을 돕는 데 10억 원의 예산을 별도로 집행할 만큼 군 장병 흡연율을 낮추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 '담배선택의 다양성 보장' 혹은 '행복추구권' 등의 논리로 군납 담배 납품이 확대 시행되다면 장병들의 금연을 유도하는 국방부 정책과도 정면 배치되는 것이다.

한국금연연구소 관계자는 "2009년부터 군납 면세담배가 폐지돼 장병들이 100% PX에서 담배를 사야 한다"며 "외제 담배 업체들도 대거 참여해 장병들의 흡연욕구를 자극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계자는 또 "한국금연연구소는 일반 담배의 품목선정방법이 아니라 단일업체 선정방식을 도입해 군 PX가 담배업체들 간의 판촉 각축장으로 전락할 수 있는 소지를 원천 봉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