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대병원은 과학저널인 '네이처 리뷰(Nature Review)'에 정신건강의학과 한덕현 교수가 토론자로 선정돼 토론을 한 내용이 게재됐다고 6일 밝혔다.
한 교수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여섯명의 전문가들은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네이처 리뷰 뉴로사이언스 12월호에 토론자로 참여했다.
그들은 '비디오 게임이 뇌에 미치는 영향(Brains on video games)'을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
이 논문에는 비디오 게임이 인지기능과 행동양식에 미치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영향 등 현재의 이해도를 밝히고 이러한 지식들이 어떻게 교육적·사회재활적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토론한 내용이 실렸다.
이 토론에서 전문가들이 선정적인 문구로 이번 연구를 일반화시켜 확대해석하는 것을 주의하라고 언급했으며, 특히 비디오나 컴퓨터 게임이 '뇌를 손상시킨다' '뇌 활동을 촉진시킨다' 등의 자극적인 헤드라인은 피하라고 당부했다.
이전에 여러 연구나 실험 보고에서는 인터넷 게임을 포함한 인터넷 중독 환자들이 공격성이 증가하고 외로워지며 집중력이 감소 하는 등 사회적 행동이 변한다고 발표했었다.
또한 이들 중 주요 우울장애나 조울증 등 여러 정신질환이 발병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보고하기도 했다.
이와 다르게 이번 토론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게임이 교육적·재활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최근 약시를 치료하거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호전시키는 등 긍정적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네이처 저널은 게임에 대해 편견과 이분법적 사고로 판단하지 말고 다각적으로 분석해 단점을 최소화하고 장점을 최대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한 교수는 "비디오 및 온라인 게임을 하는 것이 뇌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규모는 아직 불확실하다"며 "게임이 유익한지 또는 해로운지를 결정짓는 것은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게임의 특성에 의해 결정될 확률이 크다"고 말했다.
또 "많은 연구들이 게임을 통해 건강한 개인일 경우 시공간적 능력과 시각적 예민성, 작업전환 능력, 결정력 및 목표 추정능력 등이 개선된다고 보고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