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강수윤 기자 = 소득이 낮을수록 소아·청소년의 비만율이 높고 소득이 높을수록 비만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비만학회가 최근 국민건강영양조사(1998년·2007~2009년) 자료를 기초로 분석한 결과 2~18세 소아청소년비만이 지난 10년간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급속히 증가했다고 11일 밝혔다.

10년 전에는 고소득일수록 비만도가 높아 소득 상위 25%의 소아·청소년 비만율은 6.6%에서 5.5%로 감소한 반면, 하위 25%에선 5.0%에서 9.7%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하위 25%에선 지난 10년간 하루 에너지 섭취량이 235kcal 늘어났다. 반면 다른 소득층에선 하루 에너지 섭취량이 줄어들거나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루 지방섭취량도 하위 25% 소득 계층에서 15.4g 늘어난 반면 중간계층에선 줄었다. 상위 25% 계층에서 8.1g 늘어났다.

저소득층 비만율이 고소득층을 역전한 이유는 보다 저소득 어린이들이 지방함량이 높은 값싼 햄버거나 라면 등 고열량저영양식 패스트푸드를 많이 먹기 때문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고소득층 어린이와 청소년은 살이 찌지 않는 웰빙음식과 채소, 과 일을 많이 먹고 스트레스를 덜 받기 때문에 비만율이 낮다"면서 "반면 저소득층은 맞벌이 부부가 많아 아이들에게 직접 요리를 해주지 못해 패스트푸드로 떼우거나 과일도 섭취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러한 소아청소년 비만이 성인비만으로 이어져 사회 경제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는 것이다.

한국인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모두 1조7923억원으로 이는 2005년 전체 의료비의 3,7%, GDP(국내총생산)의 0.22%에 해당한다.

사회경제적 비용이 가장 큰 질병은 당뇨병(5958억원), 고혈압(5506억원), 뇌졸중(2322억원), 허혈성심장질환(1825억원) 순이었다.

한편 한국건강관리협회는 11일 서울광장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체력측정과 비만도 측정 장비를 활용해 '내 체력 바로알기-체성분석 및 체력측정'을 실시한다.

또 복지부에서 개발한 '오피스 짬짬이 체조' 포스터와 건강다이어리, 비만바로알기 책자, 아동 건강체조 지침서를 배포한다.

대한비만학회도 비만으로 인한 만성질환 증가와 의료비 지출 상승이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비만의 날 기념행사를 16일 오전 11시 서울성모병원 성의회관에서 연다.

복지부는 비만체험 수기공모 최우수 수상작에 대해 보건복지부장관상을 수여하는 한편 올바른 식생활과 운동습관을 위한 홍보와 캠페인도 전개한다.

shoon@newsis.com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