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유세진 기자 = 쥐의 iPS세포(유도만능줄기세포)나 ES세포(배아줄기세포)와 같은 만능세포로부터 정자를 만들어내는데 교토(京都)대 연구팀이 성공했다고 일본 아사히 신문이 5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들어낸 정자를 수정시켜 출산에 이르게 하는데에도 성공했다.

만능세포로부터 만들어낸 정자가 생식세포로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은 셰계 최초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날 미 과학잡지 셀의 인터넷판에 게재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체외에서 정자를 대량으로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정자가 하는 일들을 손쉽게 조사할 수 있게 돼 불임의 원인을 규명해내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생식세포를 만들어내는 데에는 기술적 문제와 함께 윤리적 과제도 걸려 있기 때문에 좀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교토대학의 사이토 미치노리(齋藤通紀) 교수와 하야시 가츠히코(林克彦) 강사 팀은 정자와 난자의 근원이 되는 '시원(始原)생식세포'가 쥐의 체내에서 만들어지는 구조와 그때 어떤 물질들이 작동하는지를 조사해 쥐의 체내에서 일어나는 상태를 재현해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

시원생식세포는 수정란의 상태로부터 분화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외배엽(epiblast)으로부터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각각의 단계에서 필요한 물질을 특정함으로써 체내에서 일어나는 것과 똑같은 순서로 만능세포로부터 외배엽으로, 나아가 시원생식세포로 변화하도록 함으로써 시원생식세포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이 세포를 선천적으로 정자를 생산하지 못하는 쥐의 정소에 주입하자 정자가 생산되기 시작했고 이렇게 생산된 정자를 이용, 체외수정을 통해 쥐를 태어나게 하는데 성공했다. 또 이렇게 태어난 쥐는 순조롭게 성장해 손자 쥐를 낳기도 했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수컷 쥐의 피부세포로부터 만들어진 것을 사용했다.

이에 따라 불임의 치료에는 커다란 진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한편에서는 윤리 문제라는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인공적인 방법을 통해 생명체를 만들어냄으로써 종국적으로는 인조인간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이다.

생식윤리 전문가인 조세핀 퀸타발레는 이런 방법을 통해서는 남성의 난자나 여성의 정자를 만들어내게 될 것이라며 인공자궁을 만들어내기만 한다면 인조인간을 생산하는 것도 불가능하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dbtpwls@newsis.com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