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방암학회, 유방암 자료 현황 공개 밝혀져
한국유방암학회는 23일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유방암백서' 발간을 기념하고, 한국 여성 유방암에 대한 환자 분석 및 각종 유방암 관련 현황 자료를 공개했다.
유방암 백서는 암관련 최초의 통합 자료로서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유방암 등록사업의 일환으로 수집된 6만명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됐다.
올해 첫 발간 한 한국유방암백서는 매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유방암 발병 현황과 조기검진을 통한 암 발견율 4배 증가라는 희망적 결과들이 대비를 보인 것이 눈길을 끌었다.
◇유방암 지난 10년의 그림자
국내 한해 유방암 발생 환자 수는 1996년 3801명에서 2006년 1만1275명으로 늘어나 10여 년 새 약 3배나 증가하는 등 해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0만 명 당 유방암 환자 발생빈도는 1996년 16.7명에서 2002년 31.9명으로 2배나 급증해 2006년에는 46.8명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학회 강성수 정책위원(제일병원 외과)은 "국내 유방암의 발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원인은 명확히 규명돼지 않았지만 서구화된 식생활, 비만, 만혼 및 출산율 저하, 수유기피, 빠른 초경과 늦은 폐경 등이 요인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 강 정책위원은 70세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는 서구의 양상과 달리 한국의 유방암 환자는 폐경전 젊은 여성이 전체의 57%를 차지해 조기검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유방암 조기검진 활성화 '핑크빛 희망'
유방암의 인식이 개선되면서 유방암 조기검진 활성화는 진단 환자 중 조기에 유방암을 발견하는 비율을 증가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도 가져온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전체 유방암 환자 조기(0기 혹은 1기) 진단 비율이 1996년에 23.8%였던 것이 2006년에는 47.1%로 증가했다.
이는 유방암 조기 검진에 대한 인식 개선과 함께 국가 암 검진 사업으로 검진의 활성화가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기 진단율의 증가는 자연스럽게 유방보존 증가가로 이어져 여성 상실감을 극복하는데도 긍적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술 후 재발 예방이 관건
유방암의 재발은 직접적인 사망원인이다. 따라서 수술 후 재발 방지를 위한 치료가 중요하다.
이와 관련 재발 예방 치료를 병행할 경우 재발률은 절반, 재발로 인한 사망률은 1/3정도 감소한다는 연구보고도 있어 재발 방지를 위한 치료에 관심이 집중해야 할 때다.
또 재발 위험은 젊은 환자일수록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40대 전 후 연령대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재발 대책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학회 박찬흔 윤리이사(강동성심병원, 외과)는 "최근 들어 조기에 유방암을 발견, 치료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지만 재발예방에 대한 인식은 아직 저조하다"며 "이를 위해 학회는 유방암 환자들의 재발 지연 및 예방을 위해 '유방암 재발 예방을 위한 지침'을 발표했다"고 말했다.
유방암 재발 방지를 위한 지침은 다음과 같다.
1. 수술 후 재발을 방심하지 마라.
2. 재발에 대한 조기발견의 노력을 아끼지 말아라
3. 건강보보식품, 대체요법이나 민간요법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마라
4. 재발 예방을 위해 의사의 치료지침을 믿고 따라라
5. 재발에 적극 대처하되, 지나친 두려움과 공포는 금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