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AP/뉴시스】이남진 기자 = 유엔인구기금(UNFPA)은 18일 보고서를 통해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콘돔을 무료화하고 가족계획을 확대하는 등의 적극적 조치를 취해 인구의 증가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UNFPA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구체적 산아 제한 규모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지만, “가임여성의 출산율을 낮추게 되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인구가 급증하면서 경제활동과 소비 규모가 지구가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을 넘게 돼 결국 극심한 기후변화로 재앙이 닥쳐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 2006년 유엔의 보고에 따르면, 지구의 인구는 현재의 67억 명에서 2050년에 92억 명으로 급격하게 불어나게 되며, 인구 증가는 대부분 개발도상국이나 저개발국에서 집중될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인구제한 정책이 기후변화에 어느 정도 효과를 보여줄지에 대해선 의문이다. UNFPA는 보고서에서 “인구와 기후변화의 연관성은 복합적이고 간접적이다”라고 언급했다. 단, “기후변화의 원인이 인간에게 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강조했다.

토라야 아메드 오바이드 UNFPA 사무총장은 이날 런던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구온난화는 세계 빈국들에게 더욱 큰 재앙을 초래하고, 특히 여성의 피해가 극심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보고서는 단순히 선언적 구호에 불과하며 문제 해결에 실질적 도움은 되지 못할 것으로 평가한다.

런던 싱크탱크인 ‘국제정책네트워크’의 캐롤라인 보인 정책 애널리스트는 “콘돔을 무료화해서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다는 주장은 매우 허황한 것”이라며 UNFPA의 인구제한 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 1987년 UNFPA는 보고서에서 “지구 인구가 50억 명을 넘어서면 식량대란이 닥쳐올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기 때문이다. 당시 “전 세계가 인구를 억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보인 애널리스트는 “경제성장과 발전은 더 많은 식량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인구 증가와 빈곤이 관계가 없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그는 세계 빈부 격차와 식량 분배 문제에 대해선 해명하지 않았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 저널은 최신호에서 출산율과 기후변화를 연관 짓는 발상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저널은 “지구온난화를 위해 산아 제한에 나서는 것은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jeans@newsis.com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