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고교학점제 폐지와 고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국민 서명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11.19.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고교학점제 폐지와 고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국민 서명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11.19.

[뉴스인] 이승민 기자 =교원 3단체가 교사 40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10명 중 9명은 고교학점제로 인해 불안과 스트레스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노동조합연맹(교사노조)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25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11월 4일부터 14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한 이번 설문조사에는 4060명의 교사가 참여했다. 

응답자의 90%는 고교학점제로 과목 선택에 대한 고민에 학습 불안과 진로 스트레스가 증가했다고 답했다. 이동수업 증가로 인한 유대감 약화에는 87.3%, 미이수제로 인한 학생 낙인과 정서적 위축에는 83.5%, 사교육 확대와 지역 격차 심화에는 87.4%, 자퇴 등 학생 이탈 영향에는 85.3%가 동의했다. 

또 97.2%는 학생마다 선택과목이 달라 반 편성이 어렵고 97.8%는 공강 등 고려사항이 많아 시간표 편성이 어렵다고 느꼈다. 학급 개념이 거의 사라져 공동체 생활에 대한 지도가 어렵다는 질문에도 92%, 지역 또는 학교 간 교육 격차가 심해졌다는 질문에도 95.8%가 동의했다. 

반대로 고교학점제로 진로·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는 질문에는 78.2%, 과목 선택을 통한 학습 동기 유발에는 82%,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최성보)로 인한 긍정적 효과 발생에는 90.9%, 학업에 대한 책임감 86.8%, 학생 성장과 발달에 긍정적 영향에는 87.5%가 동의하지 않았다. 

학생들이 과목 선택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으로는 90.6%가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상황에서의 과목 선택 부담 및 조기 진로결정에 대한 압박, 80.9%가 입시에 유리한 과목으로의 선택 쏠림, 38.9%가 원하는 만큼 다양한 과목이 개설되지 않는 학교 상황 등을 선택했다. 

응답자 중 59.9%는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대상 학생이 있었다고 했다. 또 교사 51.5%는 6년 이상, 39.5%는 3년 이상 학생의 학습 부진이 누적된 결과라고 생각했다.

지난 9월 교육부가 내놓은 고교학점제 개편안 관련, 77.1%는 2학기 최성보 유연화 방안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수업 교시별 출결 처리 권한을 과목 담당 교사와 담임교사에게 동시 부여한 제도에 대해서는 63.1%가 도움이 됐다고 했다. 학교생활기록부 공통과목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 기재 분량을 줄인 것에 대해서는 77.5%가 필요한 조치였지만 발표 시기가 너무 늦어 학교 현장의 혼란이 가중됐다고 했다. 

학점 이수 기준에 대해 55.2%는 폐지를, 31.7%는 과목 출석률만 적용을 선호했고 현행 유지는 8.7%에 그쳤다. 졸업 기준은 72.6%가 출석일수만 적용하자고 했다. 

교원 3단체는 ▲최성보, 미이수제 폐지 ▲진로·융합 선택과목 절대평가 전환 ▲교원 정원 확보 ▲학습 결손 학생을 위한 실질적 책임교육 대책 마련 ▲국가교육위원회에 교사 목소리 반영할 논의 구조 마련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학교 현장의 현실을 그대로 바라보지 않는 탁상 위 논의로는 학교와 학생들을 살릴 수 없다"며 "교육부와 국가교육위원회는 현장과 동떨어진 논의를 멈추고, 학교의 현실 위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논의를 다시 시작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