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11.24.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11.24.

[뉴스인] 김영화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의원, 권리당원 '1인1표제'와 관련한 당내 갑론을박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청래 대표가 24일 관련 논의가 시작된 이재명 대표 시절을 거듭 소환했다. 

정 대표는 이날 자정께 페이스북에 '그때도 그랬었지'라는 제목의 게시물을 통해 "역사는 반복되는가"라고 적었다. 

정 대표는 이재명 대통령이 민주당 대표이던 시절 언론 기사도 첨부했다.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 시절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 등가성을 1대1로 맞추는 안을 추진했으나 비명계 등 의원들 반대로 60:1에서 20:1 미만으로 개정했다.

정 대표는 전날 비슷한 취지의 페이스북 게시물을 4건을 올렸다. 정 대표는 "이재명 대표 시절 원외위원장들도 1인1표제 강력하게 요구했다" "이재명 대표 시절 최고위원으로서 호흡을 맞추며 당원주권정당 꿈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등 내용을 적었다.  

당내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 등가성을 맞추는 안에 대해 '전국 정당화 흐름에 어긋난다', '절차적 정당성이 부족하다' 등 비판이 나오자 이재명 대표 시절에도 권리당원 권한 강화를 추진했다는 점을 앞세운 것으로 보인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이날 페이스북에 "이번 당헌·당규 개정안에도 걱정하시는 '대의원과 전략지역'에 대한 보완내용이 담겨 있다"며 "이미 구성키로 한 '대의원 역할 재정립 태스크포스(TF)'에서 더 좋은 방아닝 있는지 논의해 차후 대시 개정을 하자는 것"이라고 적었다. 

민주당은 이날 당무위원회, 오는 28일 중앙위원회를 열고 '1인1표제'를 포함한 당헌·당규 개정 의결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중앙위는 별도의 오프라인 토론 절차 없이 온라인 투표를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별도의 논의는 없을 것 같다"며 "Q&A 등으로 개정 취지를 알리는 작업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당 지도부가 당헌·당규 개정에 대한 비판이 나오는 상황을 의식해 토론의 장을 마련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견이 있으면 오히려 오프라인 회의를 하며 의견을 내는 등 절차가 있어야 하는데 이마저도 없다면 입막음이라는 비판을 받을 만한 충분한 소지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한 지도부 의원은 "이렇게 스피디하게 하는 게 괜한 오해만 일으키는 것 아니냐"라고 했다. 

이런 가운데 일부 민주당 당원들은 '정청래 지도부 규탄 및 당헌·당규 개정 무효 가처분'을 추진 중이다. 

유튜버 '김성수TV' 등 300명은 "대의원–권리당원 1:1 개편을 당원 소통 없이 추진 ‘전당원투표’라 해놓고 하루 만에 ‘여론조사’로 변경했다"며 "투표(여론조사) 참여 자격을 임의로 변경한 결과 권리당원 83%가 불참, 찬성은 14.5%뿐인데도 압도적 찬성을 주장하는 건 당원 주권을 심각하게 침해한 절차적 위법"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