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성동구와 광진구 등 한강벨트 인근 아파트 대단지 모습이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0.02%→0.03%)과 수도권(0.04%→0.07%)의 상승폭이 확대됐다. 특히 성동구와 마포구, 광진구 등 '한강벨트' 중심으로 집값이 오르는 모양새다. 경기도에서도 재건축 등 개발 호재가 가시화된 분당, 광명, 과천 위주로 상승했다. 2025.09.25.
25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성동구와 광진구 등 한강벨트 인근 아파트 대단지 모습이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0.02%→0.03%)과 수도권(0.04%→0.07%)의 상승폭이 확대됐다. 특히 성동구와 마포구, 광진구 등 '한강벨트' 중심으로 집값이 오르는 모양새다. 경기도에서도 재건축 등 개발 호재가 가시화된 분당, 광명, 과천 위주로 상승했다. 2025.09.25.

[뉴스인] 이재영 기자 =한국은행이 수도권 주택시장에 대해 6·27 대책 이후 과열이 다소 진정됐다가 9월 들어 가격 상승폭과 거래량이 재차 확대되고 있다며 주택 및 거시 건전성 정책 공조로 적극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은은 20일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 업무현황 '주택시장 및 가계부채 상황에 대한 평가' 참고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주택 가격 상승 기대가 높은 수준을 지속하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 가격은 9월 들어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오름폭이 다시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서울 일부 지역의 가격 상승세가 점차 주변 지역 및 경기 일부 선호 지역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봤다.

주택 거래량도 9월 서울 아파트는 7~8월의 2배 가까이, 전국 주택은 30%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금융권 가계대출은 6·27 대책의 효과가 나타나면서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으나 향후 흐름과 관련된 불확실성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주택시장 과열 양상의 확산세가 뚜렷해질 경우 주택 구입을 위한 대출 수요가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면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크게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우려했다.  

한은은 주택 가격 상승 기대, 지역 간 전이 효과, 금융 여건 완화 흐름 등 관련 불안 요인을 면밀히 점검하는 가운데 주택 및 거시 건전성 정책 등과의 공조를 통해 적극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봤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