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관객-작품을 이어주는
창작핵심기지, 국립정동극장 세실
10월 16일부터~ 10월 19일 국립정동극장 세실

[국립정동극장_세실] 창작ing 무용_'황폐한 땅' Poster
[국립정동극장_세실] 창작ing 무용_'황폐한 땅' Poster

[뉴스인] 김영일 기자 = 국립정동극장(대표이사 정성숙)의 2025년 창작ing 여덟 번째 작품, 무용 <황폐한 땅>(안무 김성민, 작품개발 프로젝트 클라우드 나인)이 오는 10월 16일부터 10월 19일까지 국립정동극장 세실에서 공연한다.

무용 <황폐한 땅>은 영국 소설가 찰스 디킨스의 『황폐한 집』을 모티브로, 인간의 계급사회와 권력·부패 등 사회 문제를 차이코프스키 <호두까기 인형> 음악과 결합한 블랙코미디 형식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원작 속 사회 제도와 상류층에 대한 풍자를 바탕으로, 본래의 기능을 잃고 책임을 다하지 못한 채 껍데기로 전락한 현대 사회에 대한 비판을 위트있게 각색했다. 짙은 안개 속 검은 의상을 입은 무용수들의 날카롭고 유연한 동작을 통해 현실과 환상이 뒤섞인 듯한 신비로운 황폐한 세계를 선보인다.

[국립정동극장_세실] 창작ing 무용_'황폐한 땅'
[국립정동극장_세실] 창작ing 무용_'황폐한 땅'

특히 이 작품은 클래식 발레 <호두까기 인형>의 요소를 절묘하게 담아 컨템포러리 발레로 새롭게 탄생했다. 다이내믹하고 강렬한 움직임 속에 클래식 발레 원작의 일부 캐릭터가 등장해, 컨템포러리 발레가 낯선 관객도 자연스럽게 몰입할 수 있다. 친숙한 스토리와 음악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이슈를 관객이 공감할 수 있도록 풀어낼 예정이다.

[국립정동극장_세실] 창작ing 무용_'황폐한 땅'
[국립정동극장_세실] 창작ing 무용_'황폐한 땅'

이번 작품은 2024년 제14회 대한민국발레축제 선정작으로 초연된 뒤 2025년 ‘창작 ing’에 선정됐다. 개발 과정을 거쳐 총 60분의 러닝타임으로 국립정동극장 세실 무대에서 다시 한번 관객과 만나게 된다. 

작품 개발의 ‘프로젝트 클라우드 나인’은 2017년 김성민 안무가를 중심으로 창단되었으며 국내·외 주요 발레단 출신의 기량 높은 무용수들로 구성되어있으며 사회적인 메시지를 화두로 다양한 컨템포러리 발레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탄생>을 시작으로 <마블링>, <식스-스트링즈>, <프레임 워크> 등을 선보였으며, <COMBINATION 2.0>으로 2022년 (사)한국발레협회 올해의 작품상을 수상하며 그 예술성을 인정받았다.

[국립정동극장_세실] 창작ing 무용_'황폐한 땅'
[국립정동극장_세실] 창작ing 무용_'황폐한 땅'

국립정동극장 정성숙 대표이사는 “국립정동극장 세실 창작 ing의 취지에 맞게 도전적이고 실험적인 작품을 관객과 다시 한번 만나는 장이다.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컨템포러리 발레 <황폐한 땅>이 국립정동극장 세실 무대에서 관객들과 다시 만나게 되어 기쁘다. 

벌써 여덟 번째 작품을 올리는 창작ing의 <황폐한 땅>에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라며 공연을 올리는 소감을 전했다. 창작ing는 1차 개발된 작품들의 재공연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열린 공모를 통해 연극, 뮤지컬, 무용, 전통 분야 10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창작ing 여덟 번째 작품, <황폐한 땅>은 10월 16일부터 10월 19일까지 국립정동극장 세실에서 공연된다. 티켓 가격은 전석 2만원이다. (문의 02-742-1500)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