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8.26.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방명록을 작성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8.26.

[뉴스인] 김영화 기자 =한미 정상이 북미 정상간 대화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북한 문제에 상당 부분을 할애했다. 이 대통령은 "저의 관여로 남북 관계가 잘 개선되기는 쉽지 않다. 실제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치켜세웠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며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도 만나시고, 북한에 트럼프 월드도 하나 지어서 저도 거기서 골프도 칠 수 있게 해달라"라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북한과 남한 문제와 관련해 우리가 (한국과) 무언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라며 "김정은과 만남을 고대하며, 우리는 관계를 개선할 것이다"라고 화답했다. 취재진의 북미회담 시기에 대한 질문에는 "저는 아주 많은 사람들을 만날 예정이라 뭐라고 말하기 어렵다"며 "하지만 올해 만나고 싶다"고 답하기도 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 대통령이 비공개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10월 경주 APEC에 초청했고 "가능하다면 김정은 위원장과의 만남도 추진해보자"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슬기로운 제안"이라고 밝혔다고 한다. 

21개 회원국 정상들이 참여하는 APEC 정상회의에서 올해 의장국인 한국은 미국, 중국 등 20개 회원국 정상 모두에 초청장을 전달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 의향을 드러낸 가운데, 북한은 APEC의 회원국은 아니지만 비회원국으로 초청할 수 있다. 지금까지 대통령실과 정부는 북한 초청과 관련, "논의하는 바는 없다"면서도 "의장국 주도로 비회원을 초청해 정상회의 계기 비공식 대화를 할 수 있다"라며 가능성을 열어둔 바 있다.

강 대변인은 APEC에 북한 초청을 추진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온다면 김정은 위원장과 만나는 게 어떻겠느냐고 일종의 선후관계가 있는 제안이었다"라며 "아마 그 부분은 연동이 돼서 움직이지 않을까 예측된다"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재임 시절 2018년 싱가포르, 2019년 베트남 하노이, 2019년 판문점 등 김 위원장과 3차례 만난 적이 있다. 이에 따라 APEC 초청을 계기로 판문점에서 다시 만남이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 1월 백악관으로 돌아온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만날 가능성을 부정하지 않는 등 수차례에 걸쳐 북한에 러브콜을 보내왔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북미 정상간 대화에 공감대를 이뤘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북한 측의 반응은 변수로 보인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지난달 "조미(북미) 사이의 접촉은 미국의 《희망》일 뿐"이라는 제목의 담화를 냈고, APEC에 초청할 수 있다는 전망에 대해서도 "헛된 망상"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총장은 "미국도 난감할 수 있는 북미대화 추진의 계기를 우리가 조성, 제안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시간과 부담을 줄여줬다"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정책 지지와 함께 동행의지를 분명히 한 만큼 이번 기회를 놓쳐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