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제도는 실패한 정책, 이제는 종결해야

[뉴스인] 장재필 기자 = 전국시간선택제공무원노동조합(위원장 정성혜, 이하 ‘시간선택제노조’)은 22일 국정기획위원회가 주관하는 국민 정책제안 프로젝트 ‘이재명 대통령에게 바란다’ 현장 접수처인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정부합동민원센터에 방문해 ‘실패한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제도 폐지’ 정책 제안서를 제출했다.

실패한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제도 폐지 정책 제안’서를 전달하고 있는 사진 / 왼쪽부터 김진식 사무총장, 김정국 부위원장, 정성혜 위원장
실패한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제도 폐지 정책 제안’서를 전달하고 있는 사진 / 왼쪽부터 김진식 사무총장, 김정국 부위원장, 정성혜 위원장

◇제도의 도입과 실패, 그간의 흐름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은 2014년 박근혜 정부 시절 고용률 70% 달성을 목표로 공공무분에 도입된 시간선택제 일자리이다. 공개 및 경력 경쟁시험을 통해 시간을 짧게 일하는 일반직 공무원으로 채용되었으나 제도 시행 초기인 2014년부터 약 6,500명이 채용되었으나, 2023년 말 기준 3,562명만이 재직 중으로 약 45%가 중도 포기하거나 퇴직한 상태다.

◇현장의 강력한 폐지 요구

시간선택제노조는 정책 제안서를 통해,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면서도 근무시간에 따른 낮은 보수와 진급 기회 제한, 초과근무 강요 등의 문제로 공직사회 내 형평성과 공정성이 크게 훼손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실제 2024년 당사자 777명을 대상 설문조사 결과, 66.5%(517명)가 전일제 공무원과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80.2%(651명)가 한 달 평균 21시간 이상 초과근무를 하고 있어 사실상 주 40시간을 근무하고 있어 제도의 실효성이 사라진지 오래다.

지방자치단체 및 중앙행정기관 인사부서 대상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제도 폐지’에 대한 의견을 공문으로 취합 결과 지방자치단체 77.7%(171개)와 중앙행정기관 60.4%(29개)가 ‘짧은 근무시간으로 인한 보직 부여의 어려움, 업무 연속성 부족, 민원 응대의 질 저하를 등 행정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여 제도 폐지를 희망한다고 회신했다.

◇시선제노조의 주장과 기대효과

시간선택제노조 정성혜 위원장은 “실패한 제도는 폐지되어야 한다. 고용률 70% 달성을 목표로 공공부문에서 추진된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제도는 실패한 제도이다. 지방자치단체와 중앙행정기관 인사부서 다수도 폐지를 희망하고 당사자인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도 제도 폐지를 원하고 있다. 당사자의 권익 보호와 더불어 국민에게 질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도 더 이상 이 문제를 방치할 수 없다”며, 정부의 책임 있는 결단을 촉구했다.

'실패한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제도 폐지 정책 제안’서 표지사진
'실패한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제도 폐지 정책 제안’서 표지사진

시간선택제노조는 이번 국민 정책제안을 통해 ▲ 실패한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제도 폐지 ▲ 재직자 전원 전일제로 통합 ▲ 근무시간 단축 희망자는 ‘시간선택제 전환공무원’ 제도 활용 등을 요구했다. 이러한 조치는 인사관리 효율 제고, 업무연속성 확보 및 행정 낭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시간선택제노조 김정국 부위원장 “전일제 공무원의 시간선택제 전환제도가 이미 마련되어 있는 만큼, 별도의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며 “현장을 혼란을 줄이고 공직사회 내 형평성 및 공정성 제고를 위해 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의 폐지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에게 바란다에 정책 제안’서 제출하기 전 사진/왼쪽부터 김진식 사무총장, 정성혜 위원장, 김정국 부위원장
이재명 대통령에게 바란다에 정책 제안’서 제출하기 전 사진/왼쪽부터 김진식 사무총장, 정성혜 위원장, 김정국 부위원장

이번 정책 제안은 이재명 정부의 행정개혁 방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행정서비스 품질과 공공서비스 연속성 강화를 위한 계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