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업무 폭증으로 교직원 간 갈등 심각
학교행정지원센터가 학교 위기 극복을 위한 실질적 대안

[뉴스인] 장재필 기자 = 서울특별시교육청노동조합(공동위원장 이철웅, 오재형, 이하 서울통합노조)은 지난 22일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의 공무원 감원 정책을 “학교 현장을 고려하지 않은 탁상행정”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서울시교육청 일반직공무원을 대표하는 최대 규모의 단위 노조인 서울통합노조는 학교 현장의 업무 폭증과 교직원 간 갈등 심화를 지적하며, 현실적인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교원 행정 경감 뒤에 가려진 지방공무원의 위기

이철웅·오재형 공동위원장은 “교사가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행정 업무를 줄여야 한다는 점에는 공감하지만, 교사 외 직군이 희생되는 구조가 되어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최근 들어 안전 관리, 유보통합, 늘봄교실 등 각종 교육정책 시행으로 행정 업무는 폭증하고 있는 반면, 교육공무직 채용과 공무원 감원 정책으로 인해 지방공무원들은 과도한 업무 부담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학교행정지원센터 확대가 해법”

노조는 서울시교육청 산하 남부교육지원청에서 시범 운영 중인 학교행정지원센터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해당 센터는 △입학준비금 지급 △호봉 승급 및 초임호봉 책정 △소방훈련 일정 조율 △대규모 공사 관리 △보건·위생·시설 업무 등 11종의 전문 행정 업무를 통합 지원한다.

특히, 기간제 교원과 협력강사 채용에 필요한 계획 수립, 면접, 호봉 획정 등의 과정을 센터에서 일괄 지원하면서, 학교 행정 부담을 줄이고 교직원 간 갈등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공공인력 충원 난망…정책적 결단 요구돼

서울통합노조는 “공무원 충원은 기획재정부 등 여러 부처와의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라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학교행정지원센터를 현재 남부교육지원청에서 11개 교육지원청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 측은 “학교 행정의 구조적인 변화 없이는 지금의 갈등과 위기는 해결될 수 없다”며, 서울시교육청이 증가하는 학교 행정 수요에 대응할 혁신적 해법을 내놓을 것을 촉구했다.

학교 현장이 본연의 기능인 교육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정책적 판단과 구조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서울시교육청의 향후 대응에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