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정국 속 공공기관 낙하산 인사…김회선 전 의원 마사회장 유력설에 노조·정치권 들끓어

[뉴스인] 조진성 기자 = 탄핵으로 직을 상실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정권이 끝자락에서 남긴 가장 뚜렷한 흔적은 ‘사익의 대물림’이다. 그 대표 사례로 지목된 인사가 바로 한국마사회 차기 회장 인선이다. 검찰 출신의 김회선 전 새누리당 의원이 윤 전 대통령의 측근이라는 이유만으로 유력 후보로 거론되며, 전문성 부재와 알박기 논란이 동시에 폭발하고 있다.
정권이 무너진 상황에서 진행되는 이같은 인사는 단순한 정실 채용을 넘어, ‘내란 정권의 그림자’를 공공기관에 심는 시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탄핵 정국 틈타 단행된 속전속결 인사 절차…윤핵관 중심 ‘권력 나눠먹기’
한국마사회는 정기환 전 회장의 임기가 끝난 지난 2월, 후임 선임 절차에 돌입했다. 서류 접수, 면접, 최종 후보군 선별까지 일사천리로 진행됐고, 최근 김회선 전 의원이 최종 유력 후보로 급부상했다. 그러나 그는 마사회와 말산업에 대해 아무런 전문적 이력을 갖고 있지 않다.
김 전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서울대 법대 선배이자, 검찰 선배로 알려진 인물이다. 윤 정권 초창기에는 국정원장 후보군으로도 거론될 만큼 강한 신뢰를 받던 인사였다. 하지만 그가 맡은 과거 국회 상임위는 법사위, 문광위에 불과했고, 마사회와 관련된 정책이나 실무에 관여한 바도 전무하다.
그런 인물이 마사회를 이끄는 수장으로 거론되는 현실에 대해 한 마사회 내부 관계자는 “이건 사실상 윤석열 사단의 마지막 ‘먹잇감 챙기기’에 불과하다”고 쏘아붙였다.
◇“매출 하락·경영 악화는 직원들 몫”…노조 강경 투쟁 예고
한국마사회 노조는 이 사안에 대해 조직 전체의 생존이 걸린 문제로 받아들이고 있다. 홍기복 노조위원장은 “마사회에 대한 이해도, 경영 감각, 현장 경험 모두 부족한 인사가 회장에 임명될 경우 결국 그 피해는 직원들에게 고스란히 전가될 것”이라며 “매출 하락과 사업 방향 혼란은 불 보듯 뻔한 일”이라고 경고했다.
노조는 회장 선임 절차 중단을 공식 요구하며, 이를 강행할 경우 총파업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정권이 바뀌는 시점에 졸속 인사는 결국 조직 전체를 마비시킨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야권 “내란 씨앗 심는 폭거”…정치권 전방위 압박 나서
정치권도 들썩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의원은 “내란수괴 정권의 마지막 발악이자, 국가 시스템에 대한 모독”이라며 “공공기관에 윤석열 사단을 심어 정권이 바뀌더라도 영향력을 유지하겠다는 속셈”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 또한 “국정농단의 책임자들이 권력을 잃고도 마지막까지 국민의 세금으로 한 자리 챙기겠다는 발상 자체가 반헌법적”이라며, 김회선 전 의원이 회장에 오를 경우 법적 대응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마사회장 자리는 정치 퇴물들의 안식처인가?
문제는 비단 이번 한 건으로 끝나지 않는다. 여성가족부 산하 양성평등교육진흥원, 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가스기술공사 등에도 윤 정권 인사들이 줄줄이 낙하산을 타고 내려가고 있다. 대부분 정치 낙선자, 캠프 실세, 관료 출신들이며, 해당 기관과는 무관한 이력이 대부분이다.
정치권과 시민단체에서는 미국의 ‘플럼북(Plum Book)’ 제도처럼 정권교체기 인사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을 촉구하고 있다.
지금의 한국마사회장 인선 사태는 단순한 낙하산 논란이 아니다. 이는 ‘내란 정권’의 마지막 발자국이 공공기관에 각인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제 마사회는 묻고 있다. “말을 모르는 사람이, 마사회의 고삐를 잡아도 되는가?” 이 질문에 답하지 못한다면, 그 대가는 국민과 공공기관 구성원 모두가 치르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