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5 사이공 대탈출' 출간  하다출판사
'1975 사이공 대탈출' 출간  하다출판사

[뉴스인] 김영일 기자 = 하다출판사에서는 이문학, 정호영작가의 신간 '1975 사이공 대탈출'을 공식 출간했다고 오늘 밝혔다.

​신간은 전쟁과 혼란의 한복판에서 자국민을 구출하기 위한 국가의 결단과 군의 사명감이 만들어낸 실화를 담은책으로 단 한 명의 사상자 없이, 1,902명을 구출한 대한민국 해군의 작전을 50년 만에 책으로 담았다.

​1975년 4월 30일은 베트남전 종전과 함께 남베트남(월남)이 공산화되는 순간, 사이공(현 호찌민)은 대혼란에 빠졌었다. 미국은 피란민 철수를 위한 헬기 작전(Operation Frequent Wind)을 개시했지만, 예상치 못한 포격과 민간인 대혼잡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었다.

​이런 와중 대한민국 해군은 비밀리에 파견된 상륙함(LST)을 통해 사이공 주재 한국 공관 직원 및 교민, 그리고 한국과 연을 맺은 베트남인 등 총 1,902명을 철수시키는 데 성공했다. 바로 ‘십자성 작전’이었다.

​해당 작전은 대한민국 정부가 처음으로 해외 자국민을 대규모로 철수시킨 군 작전으로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발생하지 않은 전례 없는 구출 사례로 평가된다. 하지만 당시 작전의 민감성과 외교적 파장을 우려해, 30년 넘게 철저히 군사기밀로 봉인되어 있었다.

​신간 '1975 사이공 대탈출' 은 당시 작전을 기획하고 직접 수행한 해군 작전과장 이문학 예비역 중령의 생생한 증언과 자료를 바탕으로 집필했다. 공동 저자인 정호영 작가는 국방 전문 기자로서 수년간의 취재를 통해 작전의 전말을 검증하고 스토리로 재구성했다.

​본문에는 긴박했던 작전의 전개뿐 아니라,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직접 지시, 한국 해군의 출항 결정, 사이공 현지 대사관의 긴급대응, 미군 측과의 협력·충돌 상황 등이 상세히 담겨 있다. 또 후반부에는 베트남전에 참전한 한국군의 활동과 그 외교·경제적 파급까지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하다출판사 관계자는 “이 책은 단순한 군사작전 기록이 아니라, ‘국가는 위기 속에서 국민을 어떻게 지켜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한 시대의 답으로 오늘날 해외 파병, 재외국민 보호정책, 국제위기 대응 체계에까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십자성 작전은 2021년 아프가니스탄 철수 작전(미라클 작전), 2023년 수단 철수 작전(프라미스 작전) 등 오늘날 대한민국의 위기 대응 방식과도 직접 연결되는 상징적 선례로 평가받고있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