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인] 조진성 기자 = 전라북도 군산에 위치한 자동차융합기술원의 원장 공모 과정이 공정성과 공공성을 둘러싼 논란에 휩싸였다.

최종 면접에서 11명의 후보자 중 2명이 최종 후보로 선정되었으나, 면접위원단과 후보자 간의 이해충돌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면접 절차의 공정성 논란

2순위 후보로 선발된 문 모 씨는 자동차융합기술원 출신으로, 현재 자동차부품협회 전북지부 부회장을 맡고 있다. 문제는 해당 면접 과정에서 자동차부품협회와 관계된 인사가 면접위원으로 참여했다는 점이다. 이는 명백한 이해충돌 가능성을 내포하며, 공정한 심사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의구심을 낳고 있다.

기술원 내부 규정에 따르면, 이해관계가 있는 인사는 심의 및 의결 과정에서 제외될 수 있도록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번 면접에서는 이러한 절차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임원추천위원회 위원장인 이 모 교수는 초대 기술원 원장 출신이며, 2순위 후보자인 문 씨와는 과거 상하관계였던 것으로 드러나 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 외에도, 면접위원 중 다수가 지역 자동차부품협회 관계자로 구성되었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비판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정황은 특정 인사의 선임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이 개입된 것이 아니냐는 합리적인 의심을 불러일으킨다.

◇대기업 출신 원장 선임의 공공성 논란

한편, 1순위로 선정된 오 모 씨는 현대자동차 출신으로, 그의 선임이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자동차융합기술원은 중소기업 및 지역 자동차산업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대기업 출신 인사가 원장직을 맡을 경우 기관 운영이 대기업 중심으로 기울 가능성이 크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내부 관계자들은 "공공기관의 성격을 고려할 때,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할 인사가 적합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또한, 현대차 출신 인사가 정책 운영을 담당할 경우 대기업 친화적 정책이 추진될 가능성이 커, 지역 중소 부품업체들이 불리한 환경에 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전북도와 기술원 이사회, 해명 요구 받아

이번 원장 선임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면서, 전라북도와 기술원 이사회는 면접위원 구성 과정에서 이해충돌 검토가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공공성 유지를 위한 방안을 마련했는지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논란이 해결되지 않을 경우, 원장 선임 절차를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자동차융합기술원의 운영 방향이 지역 자동차산업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보다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적임자가 선임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