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니악  (사진=문학동네 제공)
매니악  (사진=문학동네 제공)

[뉴스인] 김영일 기자 = 2021 부커상 최종 후보에 올랐던 소설가 벵하민 라바투트가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국을 소설로 가져왔다.

​신작 '매니악'(문학동네)은 과학기술이 폭압적 힘이 되는 것을 보고 절망에 빠진 물리학자 파울 에렌페스트로부터 시작해, 100년 후 한국의 이세돌로 마무리되는 3부 구성의 소설이다. 실존 인물들을 전면에 배치해 격변하는 세계를 맞이하는 개인의 내면에 초점을 맞췄다.

​"훗날 역사가들이 우리 시대를 돌아보며 진정한 인공지능이 처음 반짝인 순간을 고른다면, 아마도 2016년 3월 10일 이세돌과 알파고의 두번째 대국에 놓인 단 하나의 수, 바로 37수가 놓인 순간을 택할 것이다.

​그것은 어느 컴퓨터도 둔 적이 없는 수였다. 인간이 고려할 법한 수도 아니었다. 새로웠고, 수천 년간 축적된 지혜와의 급진적 결별이자 전통과의 완벽한 단절이었다."

​3부에 해당하는 이세돌의 이야기는 1부의 양자역학에서 시작해 2부에서 매니악 컴퓨터가 발명된 이후 알파고가 등장하면서 지금의 AI 시대를 예고하는 기술의 절정 시대다.

​과학자들의 오랜 고민과 노력이 낳은 ‘새로운 창조’가 우리의 세상을 어떻게 격변시킬지에 대해 일종의 선전포고이자 경고인 이 대국은 소설을 통해 여러 의미를 갖는다.

​이세돌이 알파고를 이긴 회심의 일격, ‘신의 한 수’는 단순히 바둑의 수를 넘어 이 시대에 인류가 품을 수 있는 희망과 힘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천재들의 머릿속에선 어떤 생각이 펼쳐지는지에 대한 궁금증과 호기심은 누구나 한번쯤 가져봤을 것이다.

​소설 '매니악'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세계의 천재들이 세상을 받아들이는 방식과 세계를 변화시키는 방식, 그리고 그 변화로 인해 생기는 새로운 창조에 반응하는 방식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