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한나 센트비 비즈니스 임팩트 팀 리더,‘지속가능한 결제 시스템과 위기관리’를 주제로 한 세션에 연사로 참석해 저개발국가들의 금융포용과 경제성장을 위한 ‘포용적 실시간 결제 시스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견해 공유
-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UNSDGs 달성에 직접 기여하는 기업으로 주목받아 서밋에참여한 센트비…전통,신규 금융기관의 공존과 디지털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 강조

[이미지자료] Pathway to 17 로고
[이미지자료] Pathway to 17 로고

[뉴스인] 이승민 기자 =“전통,신규 금융기관의 공존이 금융포용에더욱 기여할 수 있으며,포용적 실시간 결제 시스템(IIPS, Inclusive Instant Payment Systems)의 중요한 기반은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 있다”

글로벌 외환 토탈 솔루션 기업 ‘센트비’(대표 최성욱)가 10월 30일, 31일 양일간 진행된‘Pathway to 17 summit’에 참여해 금융포용을 실천하는 핀테크 기업 역할에 대해 소개했다. ‘Pathway to 17 summit’은 유엔(UN)이 2030년까지 달성하고자 하는 17개의 지속가능한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관련 분야및 업계 리더,전문가등이 모여견해를 나누는 행사다.올해는 포용적 디지털 경제와 개발 등을 주요 주제로 진행됐다.

[이미지자료] Pathway to 17 summit 세션 카드
[이미지자료] Pathway to 17 summit 세션 카드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이번 행사에 참여한 센트비에서는 임한나 비즈니스 임팩트 팀 리더가 연사로 나섰다.임한나 팀 리더가 참석한 세션에서는 ‘지속가능한 결제 시스템과 위기관리’를 주제로 저소득국가들의 금융포용과 경제성장을 촉진하는데 있어 포용적 실시간 결제 시스템의 역할과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해당 세션은 즉각적인 돈의 거래가 가능한 결제 서비스들이 아프리카를 포함한 저개발국가들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자리 잡으면서 경제 주체들이 결제를 함에 있어서 동등한 기회를 가지게 하는 데 기여해 오고 있음에 주목했다.

해당 세션에는 아프리카의포용적 실시간 시스템성장을위해만들어진단체아프리카엔다(AfricaNenda)의 재클린 주마(Jacqueline Jumah) 이사가 모더레이터로 나섰으며,임한나 센트비 비즈니스임팩트팀리더 외에도 아프리카 금융 부문 발전을 도모하는 비영리 싱크 탱크인 센프리(Cenfri)의안토니아에세르(Antonia Esser) 수석 관리자,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ssociation)의 캐롤 기토부(Carol Gitobu) 모바일 부문 수석 관리자가 연사로 참석했다.재클린 주마 이사의 포용적 실시간 결제 시스템에 대한 소개로 시작된 세션은 아프리카의 포용적 실시간 결제 시스템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와시스템의 실행 가능성 및지속가능성에 대해 각 연사들이 자신만의 경험과 사례를 자유롭게 공유하며 진행됐다. ‘포용적 실시간 결제 시스템’은 전 세계적으로 금융 포용성 확대 및 경제 성장 촉진, 금융 안정성 지원으로 연결돼 빈곤을 줄이고 공동 번영을 촉진하는 데 필수적이라는데 의견이 모였다.

금융포용을 위해 전통,신규 금융기관의 공존과 디지털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한 센트비 임한나 팀 리더는“다른많은기술주도산업들과마찬가지로핀테크분야에서도이미기술적으로는구현가능한솔루션들이규제의제약이나부재로시장진입에어려움을겪는경우가많다”며“핀테크의다양한솔루션이금융포용을보다가속화하여널리실현하기위해서는민관이현시점에서핀테크의실현가능한잠재력에대해공동으로이해하고이를실질적으로극대화할수있는방안을모색하는것이선제되어야한다”고말했다.그러면서“현재의금융관련정책과제도들은은행과같이전통적금융기관들의상황에맞춰져있다. 국내및국경간결제서비스를제공하는기업들을포함한핀테크기업들은전통적금융기관들과협업하고기존의금융인프라들을사용해야하기도하다. 전통적금융기관과신규금융기관및서비스제공자모두가상생할수있는제도적환경이조성된다면포용적인금융생태계를보다빠르게실현시킬수있다고생각한다”고말했다.

이어 임 리더는 즉시지불시스템의지속가능성을위해디지털인프라환경조성이중요하다고도강조했다.그는“이인프라가반드시첨단기술일필요는없다”면서케냐의사례를들어설명했다.임리더에따르면케냐의모바일결제는최신기술에집중하기보다는사람들과국가가당시사용하던정보통신인프라였던2G 폰과관련인프라를활용함으로써성공했다.임리더는“실현가능한부분과개선이필요한부분을식별하고,이후필요한자원을동원해야한다.이때민관협력이중요하다”면서“특히금융포용을실현할수있는금융부문의이해관계자들에게시의적절하게이러한재원들이투입되어야하고,금융상품과서비스제공기업들은금융소외문제를제거하는고객중심의접근을우선시할필요가있다.환경, 사회및거버넌스(ESG) 요소에대한관심이증가하는현상황에서, 민간부문주체들은재정적가치를창출할뿐만아니라사회적가치창출에도기여하는해결책을개발하는것이지속가능성을높일것”이라고덧붙였다.

함께 연사로 참여한안토니아에세르(Antonia Esser) 센프리수석관리자는해결해야할과제로높은비용문제를꼽았다.그는“현실적으로재정문제를해결해야한다.아프리카의디지털결제가공공재로서인식되고규모가커져야한다.결제사기가발생하지않도록 시스템 구축이 잘 되어야 하고,사이버 보안 전문가도 있어야 한다”며“중앙은행과 공공부문,공급자 등이 상호운용성을 위한 교육과 네트워킹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캐롤 기토부GSMA 모바일 부문 수석 관리자는 “디지털 기술과 인프라 부족은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는데 큰 장애가 된다”며 플랫폼 간 데이터 협업의 중요성과건전한 경쟁을 위한 정부의 규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그러면서“모바일 기기를 통해 누구나 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수있는만큼공급자는 여러 언어와 통화 지원을 통해 정보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센트비’는 핵심 비즈니스가 금융 ESG에 부합되는기업으로, 국내에서는 업계 유일 ‘비즈니스 임팩트 팀’을 운영하며, 기존 금융권에서 주류 고객군으로 고려되지 않았던 이주근로자와 중소기업의 금융 접근성을 제고하고 국제사회에서의 금융포용 목표 달성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다.실제로 센트비의 개인 해외송금 서비스는 UN이 2030년까지 달성하고자 하는 이주근로자 해외송금 수수료율에서의 SDG(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개발목표) 목표치를 상회하고 있다.이러한 센트비의 비즈니스 모델은 한국 기업으로서는 최초로 2022년에 Inclusive Fintech 50에 선정되기도 했으며,국내외 학계,국제기구 등으로부터 인정받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