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인] 윤은중 기자=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7월부터 치매안심센터가 지역사회 내 치매관리 거점기관으로서, 치매 중증화 전 사전 예방 및 복지 자원 연계 등 사례관리 내실화를 위해 치매환자 맞춤형 사례관리 기능강화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치매환자 맞춤형 사례관리는 치매환자가 지닌 신체 ∙ 심리 ∙ 사회 ∙ 환경적 측면의 개별적이고 복합적인 욕구와 문제에 대응하여 필요한 치매지원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외부의 다양한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의뢰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올해 7월부터 12월까지 14개 시군구 18개 치매안심센터에서 지난해 연구를 통해 개발한 사례관리 업무 매뉴얼을 시범 운영하며, 노인 의료․요양 통합지원 시범사업과의 연계체계 구축도 추진한다.

14개 시군구는 광주 서구 ∙ 북구, 대전 대덕구 ∙ 유성구, 경기 부천시, 안산시, 충북 진천군, 충남 천안시, 전북 전주시, 전남 여수시, 경북 의성군, 경남 김해시, 서울 동대문구, 인천 연수구 등이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는 시범사업이 내실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하여 맞춤형 사례관리 운영 모델의 개선방안 및 보완사항 등 지속적인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며, 실무자 간담회를 개최하여 시범사업 운영 과정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갈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염민섭 노인정책관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노인 의료 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과 연계하여, 장기요양 등 타 서비스 이용자라 하더라도 치매 진단 1년 이내의 초기치매환자나 치매관리가 필요한 의료기관 퇴원환자의 경우 치매안심센터에서 전문 사례관리를 제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라며, “연말까지 시범사업 운영 중 발견된 문제점이나 개선 필요사항 등 매뉴얼 보완을 통해 최종 매뉴얼을 마련하여, 내년에는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로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