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년 기준, 40대 고용률 77.3%로, OECD 38개국 중 31위
- 40대 전체 퇴직자(38.8만) 중 비자발적 퇴직자(17.7만) 비중 45.6% 달해
- 건설, 금융 등 구조조정 바람으로 40대 일자리 위협… 고용경직성으로 재취업도 어려워

한파중 한파 40대 일자리... 5년간 전 연령대 중 '40대'만 고용률 악화
한파중 한파 40대 일자리... 5년간 전 연령대 중 '40대'만 고용률 악화

[뉴스인] 김흥주 기자 = 최근 5년간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40만 고용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올해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확산, 고금리‧고물가 등으로 일부 산업에서 구조조정 바람이 불면서 40대 가장 일자리가 위협받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바탕으로 최근 5년간(’17~’22) 세대별 고용지표 추이를 분석한 결과, () 세대 중 유일하게 ‘40만 고용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5년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60세 이상(4.6%p), 15~29(4.5%p), 30~39(2.0%p), 50~59(1.8%p) 순으로 증가했다. 반면, 40~49세는 1.3%p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경련은 “5년간 전체 취업자 수가 136.4만명(’172,672.5만명 → ’222,808.9만명) 늘어나는 동안, 40대 취업자 수는 반대로 46.9만명(’17678.3’22631.4만명) 줄었다고 밝혔다.

이어서 “40대 인구 중 절반 이상(56.0%) 가정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가장으로, 이들의 일자리 위협은 가계소득 감소, 소비지출 위축, 내수 악화 등 악순환을 야기하여 종국적으로 국가 경제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경련은 우려했다.

전경련, 5년간 세대별 고용률 추이 
전경련, 5년간 세대별 고용률 추이 

5년간 40대 비중 높은 도소매업(21.2), 제조업(10.4) 40대 취업자 많이 감소

지난 5년간(’17~’22) 업종별 40대 취업자 변화를 살펴보면, ‣도소매업(-21.2만명), ‣제조업(-10.4만명), ‣숙박 및 음식업(-9.3만명), ‣교육서비스업(-8.2만명), ‣건설업(-7.4만명) 등의 순으로 40대 취업자가 감소했다.

전경련은 지난 5년간 최저임금 급등 및 코로나 사태 등으로 인해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교육서비스업 등이 타격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제조업 부진, 공장자동화 및 일자리 해외 유출 등으로 제조 일자리가 줄어들었으며, 코로나 확산, 원자재 가격 및 금리 급등 등으로 인해 건설경기가 위축된 영향이 반영됐다고 전경련은 분석했다.

전경련, 5년간 업종별 40대 취업자 증감
전경련, 5년간 업종별 40대 취업자 증감

우리나라 40대 고용률, OECD 38개국 중 31위로 최하위권

’21년 기준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77.3%, OECD 38개국 평균인 82.5%보다 5.2%p 낮은 수준이었고, 그 순위는 31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일본(86.5%), 독일(86.3%), 영국(84.8%), 프랑스(84.2%) 등 주요 해외 국가들보다도 낮은 수준이었다.

전경련, 2021년 기준 OECD 40대 인구 고용률 
전경련, 2021년 기준 OECD 40대 인구 고용률 

지난 5년간(’16~’21) 추이를 보면,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감소 추세(-2.0%p), 콜롬비아(-6.5%p), 아이슬란드(-5.7%p), 칠레(-4.4%p), 에스토니아(-2.4%p)에 이어 OECD 38개국 중 5번째로 감소 폭이 컸다.

 

전경련, 5년간 OECD 40대 고용률 증감 
전경련, 5년간 OECD 40대 고용률 증감 

지난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비중 45.6%… 올해 구조조정 여파로 더 악화될 우려

한편, 지난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수는 17.7만명으로, 40대 전체 퇴직자(38.8만명)45.6%에 달했다.

 

최근 5년간(’17~’22) 추이를 살펴보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수는 ’1716.7만명에서 ’2217.7만명으로 6.0% 증가했고, 전체 퇴직자 비자발적 퇴직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38.5%에서 45.6%7.1%p 늘었다.

 

전경련은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수가 코로나19 본격 확산 시기인 ’2026.6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접어들긴 했지만, 최근 경기둔화, 불안정한 대내외 여건으로 기업들이 잇단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일자리를 잃은 40대 가장들이 다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전경련, 5년간 50대 비자발적 퇴직자 추이 
전경련, 5년간 50대 비자발적 퇴직자 추이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올해 금융, 건설,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구조조정 바람이 불면서 40대 중장년층의 일자리가 더욱 위협받고 있는 상황인데, 고용경직성이 높은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는 중장년층의 재취업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는 기업들이 일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세제지원 강화, 규제 완화 등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