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 중앙대 정인경 교수팀, 폐경 여성 1,890명 분석 결과 발표

[뉴스인] 김가현 인턴기자 = 폐경 여성 4명 중 1명 이상이 복부 비만 상태인 것으로 밝혀졌다. 폐경 이후 근력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하는 비율은 10%에도 못 미쳤다.

20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중앙대 체육교육과 정인경 교수팀이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50∼64세 폐경 여성 1,890명을 대상으로 폐경 이후 운동 등 신체활동 상태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폐경기 여성의 악력과 신체활동에 따른 대사적 건강위험 및 식생활평가지수와의 관련성 연구-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 자료를 이용하여)는 중앙대 학교체육연구소가 발간하는 학술지(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AJPESS) 최근호에 실렸다.

중앙대 정인경 교수
중앙대 정인경 교수

폐경 이후 근력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모두 하지 않는 비율은 전체의 52.1%로, 절반 이상이었다(50대 51.1%, 60대 53.8%). 둘 다 하는 비율은 9.3%(50대 9.9%, 60대 8.4%)에 불과했다. 

평소 하루에 앉아서 보내는 시간은 약 7시간(50대 425분, 60대 421분)이었다. 50대 폐경 여성의 25.1%가 복부 비만이었다. 34.1%는 공복 혈당이 100㎖/㎗ 이상으로 공복 혈당 장애 상태였고, 8.7%는 사실상 당뇨병 환자였다. 60대 초반의 폐경 여성의 복부 비만 비율은 30.6%였다. 

50대 폐경 여성의 31.7%, 60대의 47.9%가 대사증후군 환자였다.  정 교수팀은 논문에서 “운동 등 신체활동을 전혀 하지 않은 폐경 여성은 근력운동 또는 유산소 운동 중 어느 하나라도 하거나 모두 하는 여성보다 복부비만ㆍ고중성지방혈증 위험이 컸다. 

폐경 여성의 손아귀 힘(악력)이 적을수록 각종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컸다. 정 교수팀은 폐경 여성의 손아귀 힘(절대 악력)을 측정한 뒤 이를 각자의 체중으로 나눴다(상대 악력). 상대 악력의 건강 체력기준 충족 여부는 성별ㆍ나이별 상대 악력의 건강 체력 기준(50대 42.3%, 60~64세 40.5%)에 근거해 판정했다. 

상대 악력이 건강 체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50대 폐경 여성은 충족한 여성보다 복부비만 위험은 4.6배, 고혈당 위험은 1.8배, 고중성지방혈증 위험은 1.4배, 저 HDL 콜레스테롤 혈증 위험은 1.4배, 대사증후군 위험은 2.3배 높았다.

60~64세 폐경 여성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상대 약력이 건강 체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이 나이대 폐경 여성은 충족한 여성보다 복부비만 위험은 6.4배, 대사증후군 위험은 1.9배였다. 

정 교수팀은 논문에서 “세계보건기구(WHO)는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 등 대사성 질환 예방을 위해선 앉아서 보내는 시간을 최대한 줄이고, 중ㆍ고강도 운동을 지속해서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며 “폐경 여성은 PCㆍ스마트폰 사용, TV 시청 등 앉아서 보내는 시간을 2시간 이내로 줄이고, 걷기 등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을 꾸준히 실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