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 골프의 경우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다는 매력이 있어 빠른 속도로 대중에 파고 들고 있다.
그러나 스크린 골프와 필드 골프 후 골퍼들이 호소하는 통증의 부위가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자생한방병원이 최근 한달 간 내원한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발표한 설문 자료에 따르면 스크린 골프 후에는 허리 통증(71%)을, 필드골프 후에는 관절 통증(63%)을 주로 호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증부위를 묻는 질문에, 스크린골프 후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골퍼들이 71%로 가장 높았고, 그외 어깨 9%, 목 7%, 그리고 손목과 팔꿈치가 각각 5% 순이었다.
또 필드골프 후에는 어깨통증을 느끼는 응답자가 34%로 가장 많았고, 허리 26%, 손목 16%, 목 10%, 무릎 7%, 팔꿈치 6%의 순이었다.
이는 스크린골프가 허리 통증이 압도적으로 많고, 관절질환 통증은 미비한데 반해 필드골프에서는 허리 보다는 어깨, 손목, 무릎, 팔꿈치 등 관절질환 통증을 호소하는 골퍼들(63%)이 과반수를 넘는 결과를 보인 것이다.
또한 '골프를 칠 때 스트레칭을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필드에서는 84%의 골퍼들이 스트레칭을 한다고 대답했지만, 스크린에서는 스트레칭을 하는 골퍼의 수는 41%로 절반이나 급감했다.
이는 비교적 시간적 여유가 있는 필드에서는 채를 휘두르기 전에 몸을 풀면서 마음을 다잡는 반면, 스크린 골프의 경우 스트레칭에 소홀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골프 후 통증을 느낄 때 처치방법'으로는 '병원에 간다'는 대답은 14%에 그친 반면, '그냥 참는다'라고 답한 응답자가 35%로 가장 많았다.
그 외 파스나 외용제 사용(28%), 냉온찜질(12%), 마사지 지압(11%)을 택한 골퍼도 많았다.
골프척추관절클리닉 김철수 원장은 "골프 후에 통증을 지속적으로 느끼게 되면 병언에서 치를 받아야 한다"며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쳐 뒤늦게 고생하는 경우에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