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지공예가 임지연 등 작가 3인, 이충무공 모티브 기획 전시
- 서울 가회동 북촌한옥청에서 23일 개막

복식과 함 작품(사진제공= 임지연 작가)
복식과 함 작품(사진제공= 임지연 작가)

[뉴스인] 정경호 기자 = 한지공예가 임지연이 서울 종로구 가회동 북촌한옥청에서 23일 개막하는 '복식과 함' 전시회에 참여한다.

임지연 작가는 이번 '복식(服飾)과 함(函)' 전시는 복식 분야(침선과 자수)와 한지 분야(함·한지전통소품) 작가들이 협업한 작품을 전시하는 것"이라며 "각자의 전문 분야(자수·침선·규방·한지)에서 활동하는 작가들이 자신이 가장 잘하는 부분을 작업해, 서로가 만든 작품을 합체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조화를 선보이는 것이 이번 전시의 취지"라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충무공 이순신을 모티브로 기획한 전시여서 작가들 관점에서 바라보는 이충무공을 작품으로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임진왜란 명량해전 당시 이순신 장군께서 쓰신 난중일기에 나오는 한 구절인 “필사즉생(必死則生) 필생즉사(必生則死)-죽으려 하는 자는 살 것이고, 살고자 하는 자는 죽을 것이다”라는 이충무공의 친필 구절 문양을 자수공예가는 친필족자로, 한지공예가는 고비와 안경집으로 제작했다. 

또 이충무공이 근무할 때 입으셨을 무관 단령과 호랑이 흉배, 거기에 관복을 보관하는 함이 한 세트, 외출 시 입으셨을 도포와 세조대, 거기에 갓을 보관하는 갓집이 한 세트로 제작됐다.  

우리나라 복식에는 항상 보관하는 함이나 상자가 존재했는데 족두리엔 족두리 함, 탕건에는 탕건 함, 노리개를 보관하는 노리개 함, 나라에서 시달된 교지를 보관하는 교지 함, 문서를 넣는 문서함, 심지어 비녀조차도 비녀를 넣는 함과 비녀를 보관할 때 쓰는 비녀 베개까지 그 세심함에 찬사가 절로 나온다. 

임 작가는 "이번 전시를 기획하면서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기 위한 이순신 장군의 처절함과 비장함에 숙연해졌으며, 다시 한번 이충무공의 위대함을 되새겨 보는 기회가 됐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그러면서 "선조들의 격을 차리는 문화와 사소한 물건 하나도 허투루 다루지 않았던 세심함을 배우는 계기가 됐다"라고 전했다. 

이번 전시 참여 작가는 자수공예가 이강녀, 침선·규방공예가 진은정, 한지공예가 이혜진, 임지연 등으로 작가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10년 이상 실력을 갈고닦았으며 지금도 숙련도를 높이기 위해 기술을 연마하며 노력하고 있다. 

전통공예(전통자수·규방공예) 이강녀 작가는 행치우 전통 자수 연구회 연구회원으로 (사)국민예술인 협회 초대 작가를 지냈으며 금천50 플러스 규방공예 커뮤니티를 진행하고 있다.

자수공예지도사 진은정 작가는 원광디지털대학교 한국복식과학학과를 졸업하고 한국미술국제교류협회 추천작가(공예부문), 온새미로 규방공예 연구회 회원, 행치우 전통자수 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예원공방을 운영하고 있다. 

임지연 작가는 개인전 5회와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고 한국미술협회 전통공예 정회원, 한지진흥회 사범, 고현한지연구회 연구사범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임지연 전통공예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서울시 북촌문화센터에 출강하고 있고 서울시 돈의문박물관마을 한지공예 상주 작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한지공예가 이혜진 작가는 개인전 5회와 다수의 그룹전, 회원전에 참여했고 (사)의석공예문화협회 이사, (사)한국한지문화산업발전연합회 창작분과위원장과 서울시 돈의문박물관마을 한지공예 상주 작가로 활동하고 있고 한지공예 '청우'를 운영 중이다. 이들의 '복식과 함' 전시는 28일까지 이어진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