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인] 김기현 기자 =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2 양자 정보주간’을 맞이해 한국과학기술원(이하 KIST) 본원에서 개최한 ‘양자기술 산업화 성과발표 및 미래양자융합포럼 1주년 기념식’을 통해 양자 분야 기술개발 및 상용화 성과를 1일 발표했다.

2년간 과기정통부 디지털 뉴딜 사업을 수행한 SKB 컨소시엄은 광주시와 대전시 등 5개 기관 6개 구간과 연세의료원 등 6개 기관 11개 구간 등 총 17개의 공공·의료·산업 분야에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를 구축·운영하며 응용서비스를 발굴 적용했다.

SKT는 2011년 양자기술연구소를 설립한 이래 10년 이상 꾸준하게 양자 관련 연구를 선도해왔으며 2018년 IDQ 인수 이후로도 양자 관련 원천기술을 폭넓게 확보하며 국내에서 다양한 실증사례와 사업실적을 남길 수 있었다.

SKT는 양자암호통신기술로 양자키분배기(QKD), 양자난수생성기(QRNG)를 중심으로 양자암호통신 핵심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다수의 실제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또한 SKT는 생체인증 벤처기업 옥타코가 내놓은 지문인식 보안키 이지퀀트(EzQuant)에 QRNG 기술을 적용하는 등 양자암호 장비 부품과 응용 단말 국산화 노력에도 앞장서고 있다.

한편 SKB는 7월 1일 기업용 양자암호전용회선 상품을 출시했다. 이번 양자암호전용회선 상품 출시를 통해 국가기밀을 다루는 국가기관뿐 아니라 개인정보와 금융정보 보호가 필요한 공공·금융기관,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기업 등을 대상으로 최적의 보안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SKT와 SKB는 앞으로도 양자 산업 활성화를 선도하며 양자 미래 기술을 지원하고 상생 협력과 인력 양성 등 사회적 가치를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SKT 관계자는 "지금까지 노력해온 바와 같이 ITU-T와 ETSI 등 여러 기관과 같이 국제 표준화를 주도하며 글로벌 리더십 및 사업 영역 확대를 위해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