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계(왼쪽) 법무부 장관과 김오수 검찰총장이 2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서 입법예고된 직제개편안과 고검검사급 중간간부 인사에 대한 의견을 나누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2021.06.20 / 사진=[법무부 제공]](https://cdn.newsin.co.kr/news/photo/202203/100523_95135_932.jpg)
[뉴스인] 이승민 기자 =법무부가 전날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윤석열 당선인의 '법무부장관 수사지휘권 폐지' 공약에 대해 기존의 반대 입장에서 한 발 물러섰다는 평가가 나오는 것과 관련,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수사지휘권(을 존치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입장은 변함없다"라고 30일 밝혔다.
박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과천청사 법무부 출근길에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어찌됐든 법무부가 인수위에 업무보고를 할 수 있게 돼 다행"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인수위는 법무부 업무보고 직후 브리핑을 통해 "법무부가 장관의 수사지휘권 행사로 검찰의 독립성 훼손 논란이 일정부분 발생한 것에 대해 공감한다는 입장을 보였다"며 "다만 구체적인 찬성 여부에 대해선 명확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고, 새 정부 들어 법률개정 작업이 있으면 적극 참여하겠다고 답변했다"고 밝힌 바 있다.
박 장관은 그동안 공개적으로 수사지휘권 폐지 등 윤 당선인의 공약에 반대 의견을 냈고, 인수위가 여기에 불만을 표하며 업무보고를 한 차례 미루기도 했다. 결국 법무부의 최종 업무보고 내용에는 박 장관 개인의 입장에서 보다 완화된 입장이 담긴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이에 대해 박 장관은 "법무부의 입장이란 것이 현실에 가둔 것이라고 생각한다"이라며 "법무부의 입장은 업무보고서에 제 지시와 관계없이 잘 반영돼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저야 5월9일이면 갈 사람이지만 우리 국·실장들은 남을 사람이니 그 사람들이 처한 어려움을 십분 이해한다"라며 "제 생각이 일관됐다면 국·실장들의 생각도 큰 변화가 있지 않았겠지만, (인수위 보고시간이) 한 시간에서 두 시간으로 늘어나며 여러가지 상황상의 현실에 직면하게 됐다고 봐야겠다"라고도 했다.
그는 "법치주의와 책임행정 원리상 어떤 기관도 견제받지 않는 기관은 있을 수 없다"며 "수사지휘권의 한계나 내용, 방식은 얼마든지 논의할 수 있지만 일도양단으로 없애고 예산편성도 독립시키면 어떻게 되겠나"라고 되묻기도 했다.
박 장관은 또 형사사건공개금지 규정에 대해 "공소장 공개에 일관성을 잃었다고 지적하지만 법무부 나름대로 확고한 기준을 갖고 일관성있게 해왔다"며 "현실 타당성 부분은 대검찰청의 얘기를 들어보고 납득되는 부분이 있고 협조할 게 있으면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박 장관은 직권으로 대장동 의혹 상설특검을 가동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엔 "검토해보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