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질환 있는지 확인 위해 검사 필요해

(사진=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뉴스인] 박소혜 기자 = 우리나라 사람들이 흔하게 호소하는 질환 중 하나가 바로 만성소화불량이다. 유병률에 대한 정보는 미흡하지만, 2000년 발표된 한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과 호저면의 지역주민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된 바 있다.

이 연구에서 소화불량 유병률은 15.5%였고, 남자가 15%, 여자는 16%로 남녀 간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실제 환자는 설문조사 결과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10일 한국건강관리협회를 통해 만성소화불량의 증상과 개선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 불면·우울 등 정신과적 증상 동반

만성소화불량은 기능성소화불량이나 신경성위장염으로도 불린다. 위염·궤양 등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복부팽만감, 통증 등이 반복되며 스트레스와 관련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속쓰림과 복통 등 궤양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 궤양형, 가슴이 쓰린 증상이 나타나는 역류형, 복부팽만감·트림·구토 등 만성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나는 운동장애형이 있으며, 불면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는 복부팽만감·트림·오심·구토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운동장애형이 가장 많다.

기능성소화불량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키는 심리적 인자로는 불안·우울과 같은 부정적 감정, 스트레스에 대한 이상 반응, 의존적 인격, 대응전략의 변화, 질병 행동의 변화 등이 있다.

불안장애도 흔히 발견되며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심리적 상태나 신체적 상태에 대한 지각이 빈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성소화불량 환자들이 피해야 하는 음식으로는 ▲술 ▲커피 ▲우유 등 유제품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 ▲기름에 튀기거나 자체 지방 함유량이 높은 음식 ▲덜 익은 바나나 등이 있다.

◇ 원인 추적해 습관 교정해야

만성소화불량증이 있는 경우 다른 원인질환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내시경, 초음파, 혈액검사를 받아야 한다. 소화불량증은 대부분 증상이 심하지 않으며 간헐적으로 나타나는데,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음식, 정서적 사건, 환경적 요인들을 밝혀내 피하도록 한다.

기능성소화불량증은 생명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질환은 아니지만 만성적으로 불편감을 주어 환자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다른 기질적 질환 감별을 위해 기본적인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증상 호전을 위해 약물 복용도 필요하지만 원인이 되는 생활습관을 교정하고 스트레스를 없애려는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 김지연 과장은 “만성소화불량은 증상만으로 기질적인 질환과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설명하기 어려운 체중 감소나 삼킴장애, 출혈, 지속적인 구토, 극심한 통증, 발열, 황달 등이 있다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 필요한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