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한글 그림책을 출판한 일본인 야마기와 타카코(山極尊子) 작가가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의 눈으로 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야기를 뉴스인(NEWSIN)에서 칼럼으로 연재합니다. 야마기와 타카코는 2008년 한국으로 유학 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석사학위와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교육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지한파 동화작가입니다. -편집자주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마음도 항상 꽃피는 봄날이었으면 한다. 사진은 ‘봄’. (사진=방찬순 사진작가)

[뉴스인] 야마기와 타카코 = “딸이랑 같이 왔는데 딸이 한국 사회에 잘 적응하고 학교에서 공부 잘하고 그게 제일 행복해요. 아이들이 빨리 적응하고, 친구들이랑 잘 지내니까요.” 

기혼여성에게 자녀교육은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 지난 칼럼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북한 출신이라는 낙인이 자녀의 앞길에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북한이탈주민은 그들의 자녀와 일정한 거리를 두지만 자녀가 한국식 말투에 빨리 적응하고 친구들이랑 어울리는 모습을 보면서 행복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여기는 것에는 단순히 왕따와 같은 문제 때문에 자녀들이 고통 받을 수 있다는 인식을 넘어 청소년기의 부적응이 장기적으로 자녀 인생 자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내포되어 있다.

“한국은 한번 늦어지면 안 될 것 같아요. 북한에서 바로 한국으로 온 학생들은 언어가 같기 때문에 공부하는데 그렇게 큰 어려움은 없지만, 중국에 있다가 한국으로 온 학생들 경우에는 한국어를 까먹어서 공부하는데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어요. 이런 아이들은 한국에서 졸업해도 기술을 배우거나 막노동 같은 일밖에 할 수 없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최근의 한 연구는 북한이탈 청소년의 집합주의나 가족주의 성향이 남한 청소년에 비해 높고, 유연한 적응능력 역시 북한이탈 청소년에게서 높게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결국 부모는 자신의 존재를 숨기며 자녀의 한국 적응을 돕지만 자녀는 자연스럽게 한국 사회에 적응하며, 한국 출신 청소년에 비해 가족에 대한 높은 애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의 존재가 한국생활에서 의지의 대상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한 가지 제안을 한다. 북한이탈 청소년은 한국에 입국하여 하나원의 ‘하나둘 예비학교’에서 12주 간 399시간의 한국 적응 교육을 받는다. 이 과정이 끝나면 한국의 거주지로 가야 한다.

북한이탈 청소년은 부모와 다름없이, 어쩌면 성인인 부모보다 더 고통스러운 과정을 거쳐 한국에 입국했을 수 있다. 청소년기의 특성과 입국의 어려움에 비추어 399시간이라는 교육시간은 부족할 가능성이 높다.

이들에게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이들 부모가 한국 사회에 긍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인 이탈 청소년이 한국에 대해 더 좋은 감정을 가지고 유연하게 적응하게 함으로서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

필자는 한국 정부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책 중 북한이탈주민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도 많다고 본다. 장기적으로는 이러한 오해 역시 해소해야 한다. 지금보다 높은 수준으로 자녀들의 적응을 돕는 것은 부모로 하여금 북한이탈주민 정책에 대한 오해 해소에 도움이 되고 이들이 탈북에 대한 가치를 더 높게 느끼게 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의 높은 가족주의 성향을 이용하자는 것이 아니다. 한국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에 더 집중하여 북한이탈주민이 더 긍정적인 상태에서 한국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