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윤석열 당선인 취임식 준비 돌입...인수위 구성 후 장소 등 조율

2022-03-10     김동석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선대위 해단식에 참석해 당선증을 들어보이고 있다.2022.03.10 / 사진=[공동취재사진]

[뉴스인] 김동석 기자 =정부가 오는 5월10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 준비에 본격 돌입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재임 기간 생산된 기록물의 이관 작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1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인수위)가 구성되는대로 취임식 형태와 장소 등을 조율할 계획이다.

그간 30억원 내외의 예산을 확보해 새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함축해 보여줄 취임식을 인수위와 행안부가 협의해 준비해왔다. 

특히 취임 장소는 종전 취임식 선례와 행사장 공간 구성, 참석 규모, 날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정해왔다.  

1987년 헌법 개정 이후 직선제로 뽑힌 대통령의 취임식은 2월 25일 오전 10시 또는 11시에 국회의사당 앞 광장에서 열렸다. 장내 아나운서의 안내에 따라 국민의례, 식사, 취임선서, 보신각 타종 및 군악·의장대 행진, 예포 발사, 축하공연 등의 순서대로 진행됐다. 

해외 정상 등 귀빈들도 대거 초청됐다. 현대의전연구소에 따르면 역대 대통령의 취임식 초청 인원은 13대 노태우 2만5755명, 14대 김영삼 3만8056명, 15대 김대중 4만5796명, 16대 노무현 4만8522명, 17대 이명박 6만2168명, 18대 박근혜 7만366명이었다. 

그러나 대통령 탄핵이라는 초유의 사태 이후 진행된 19대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식은 당선과 동시에 임기가 시작돼 간소하게 치러질 수 밖에 없었다. 2017년 5월10일 낮 12시 국회의사당 중앙홀에서 선서 위주로 진행하다보니 당시 행정자치부는 취임식이 아닌 '취임선서 행사'로 명명했었다. 당시 참석 인원도 5부 요인과 국회의원, 국무위원(취임행사위원), 군 지휘관 등 300여명에 그쳤다.

윤 당선인의 취임식도 코로나19 확산세 속에서 열리는 만큼 대규모로 추진하기엔 무리가 있다. 자칫하면 감염 확산의 불쏘시개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문 대통령이 취임식에 참석할 가능성은 높아 보인다. 새 대통령의 취임식을 할 때 이임하는 대통령이 같이 참석하는 게 관례다.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식 당시 이임하는 이명박 대통령과 악수한 뒤 환송했고, 이보다 앞서 이 대통령의 취임식에서는 고향인 경남 김해 봉하마을로 떠나는 노무현 대통령을 환송한 바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인수위가 꾸려지는대로 취임식 방향·장소·규모를 협의해 준비할텐데 40~50일 가량 기간이 있을 것"이라면서 "코로나19 시기 취임한 해외 대통령 사례들을 참고해 여러(시나리오를) 제안하게 될 것 같은데 당선인의 의지와 국정 철학이 가장 중요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행안부는 문 대통령의 임기 종료에 맞춰 기록물 이관을 마치기 위한 작업도 서두른다.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통령의 임기가 종료되기 전까지 이관 대상 기록물을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하게 돼 있다. 이관된 기록물은 목록과 실물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검수작업을 거쳐 생산기관별·유형별로 분류돼 대통령기록물 생산시스템(PAMS)에 등록된다. 이후 기록관리 전문 서고에서 보존된다.

앞서 노무현 821만2916건, 이명박 1094만6448건, 박근혜 1106만3367건을 이관한 바 있다. 

전해철 행안부 장관은 지난달 18일 세종시 대통령기록관을 찾아 30여개에 달하는 대통령기록물 생산기관에 기록관리 컨설팅과 이관 협의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