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국정 수행 평가] 긍정 37.4%(6.4%P↓), 부정 57.3%(5.1%P↑)

– 국정 수행 평가, 긍·부정 평가 차이 19.9%P로 오차범위 밖 흐름 보여. 긍정평가 現 정부 들어 최저치(이전 최저치는 19년 10월 2주 차 41.4%). 부정평가 現 정부 들어 최고치(이전 최고치는 19년 10월 2주 차 56.1%). – 긍정평가, 열린민주당 지지층(3.9%P↑)에서 상승 – 충청권(16.3%P↑)·호남권(10.0%P↑), 여성(6.2%P↑), 40대(6.7%P↑)·70대 이상(6.6%P↑)·60대(6.4%P↑), 정의당 지지층(4.6%P↑), 진보층(6.4%P↑)·중도층(3.8%P↑), 자영업(8.9%P↑)·사무직(6.9%P↑)에서 부정평가 상승

2020-12-03     김태엽 기자
이미지=[리얼미터]

[뉴스인] 김태엽 기자 =리얼미터가 2020년 12월 1주 차 주중 잠정집계(무선 80 : 유선 20, 총 1,508명 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 취임 187주 차 국정 수행 지지율(긍정평가)이 지난주 11월 4주 차 주간 집계 대비 6.4%P 내린 37.4%(매우 잘함 20.4%, 잘하는 편 17.1%)로 나타났다. 부정평가는 57.3%(잘못하는 편 14.2%, 매우 잘못함 43.1%)로 5.1%P 올랐다. ‘모름/무응답’ 은 1.3%P 증가한 5.3%를 보였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차이는 19.9%P로 오차범위 밖이다. 대통령 지지율 일간 지표는 지난주 금요일(27일) 44.4%(부정평가 51.5%)로 마감한 후, 30일(월)에는 38.8%(5.6%P↓, 부정평가 56.1%), 12월 1일(화)에는 36.7%(2.1%P↓, 부정평가 58.1%), 2일(수)에는 38.2%(1.5%P↑, 부정평가 56.7%) 지지율 흐름을 보였다.

이미지=[리얼미터]

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이 지난주 11월 4주 차 주간 집계 대비 3.3%P 오른 31.2%, 더불어민주당은 5.2%P 내린 28.9%, 국민의당은 0.4%P 내린 6.7%, 열린민주당은 0.7%P 내린 6.0%, 정의당은 0.2%P 내린 5.5%, 시대전환은 0.3%P 오른 1.0%, 기본소득당은 0.3%P 내린 0.5%를 기록하였다. 무당층은 11월 4주 차 대비 3.1%P 증가한 18.7%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TBS 의뢰로 11월 30일(월)부터 12월 2일(수)까지 사흘 동안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34,269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1,508명(무선 80 : 유선 20)이 응답을 완료한 2020년 12월 1주 차 주중 잠정집계 결과, 문재인 대통령 취임 187주 차 국정 수행 지지율(긍정평가)이 지난주 11월 4주 차 주간 집계 대비 6.4%P 내린 37.4%(매우 잘함 20.4%, 잘하는 편 17.1%)로 나타났다.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TBS 의뢰로 11월 30일(월)부터 12월 2일(수)까지 사흘 동안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34,269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1,508명(무선 80 : 유선 20)이 응답을 완료한 2020년 12월 1주 차 주중 잠정집계 결과, 문재인 대통령 취임 187주 차 국정 수행 지지율(긍정평가)이 지난주 11월 4주 차 주간 집계 대비 6.4%P 내린 37.4%(매우 잘함 20.4%, 잘하는 편 17.1%)로 나타났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라는 부정평가는 5.1%P 오른 57.3%(매우 잘못함 43.1%, 잘못하는 편 14.2%)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 은 1.3%P 증가한 5.3%임.

이번 주중 잠정집계는 11월 30일(월)부터 12월 2일(수)까지 사흘 동안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34,269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1,508명이 응답을 완료, 4.4%의 응답률(응답률 제고 목적 표집 틀 확정 후 미수신 조사대상에 2회 콜백)을 나타냈고, 무선 전화면접(10%),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방식,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20년 10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별, 연령대별, 권역별 림가중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P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