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디지털성범죄 피해지원 사업 착수···전담 조직 가동
[뉴스인] 장재필 기자 =경기도가 디지털성범죄 피해지원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경기도지사를 비롯한 정치인과 유명인 등의 사진을 합성·희롱하는 불법행위가 자행됨에 따라 수집한 각종 증거 등을 토대로 수사 의뢰했다.
이순늠 경기도 여성가족국장은 28일 "지난 6월 '디지털성범죄 대응 추진단' 발족을 시작으로 약 4개월 간 신속하게 디지털성범죄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며 경기도의 디지털성범죄 대응사업 추진 경과를 밝혔다.
26일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에 디지털성범죄 피해 지원과 관련한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가동에 들어갔다. 전담조직은 초기상담 및 삭제 지원, 유포 모니터링 등을 하는 한편 수사·법률·전문상담·긴급생활지원 등 관련 기관과 피해자를 연계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 전담조직은 내년 1월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원스톱지원센터'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디지털성범죄 근절 활동에 의지가 큰 12명의 도민을 선발해 '경기도 디지털성범죄 대응감시단'을 27일 발족했다. 이들은 역량강화 교육 이수 후 포털·SNS에서 디지털성범죄 모니터링 활동에 착수할 계획이다.
도는 또 다음달부터 경기도 공직자와 공공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디지털성범죄 예방 및 근절 교육도 할 계획이다.
이 국장은 "디지털성범죄 근절 방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범죄양상이 매우 다양해지고 일상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며 "일견 평범해 보이는 모 온라인 커뮤니티의 특정 게시판 유저들이 디지털성범죄가 난무하는 오픈채팅방을 운영했다"고 설명했다.
확보된 물증에 따르면 해당 채팅방에서는 수간·수인물과 같이 비인격적인 콘텐츠와 아동 또는 교복 차림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까지 짧은 기간 740여건의 음란물 및 불법 성착취물이 공공연하게 유포되고 있었다. 특히 잘 알려진 인물들의 사진을 의도적으로 합성해 공유하는 등 피해자의 존엄을 훼손하는 성적 대상화와 희롱 행위가 마구잡이로 이뤄지고 있었다.
경기도지사를 비롯해 성별과 여야 불문 전·현직 정치인과 유명인사, 그리고 그 가족까지 포함된 것으로 파악된다.
도는 해당 사례를 비롯해 지금까지 수집된 각종 증거들의 위법 소지가 높다고 판단, 지체 없이 수사 기관에 수사를 의뢰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심각성과 상습성, 확산가능성 등 사안의 특성에 따라 유포 모니터링 및 삭제 지원, 채증 등에도 착수하기로 했다.이 국장은 "경기도는 성착취물의 확산을 차단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며 분별없이 자행되는 범죄행위를 위축시키는 데에 주어진 자원을 모두 동원해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디지털성범죄의 피해를 입거나 해당 범죄행위를 목격하게 될 경우 반드시 신고하고, 주변에 피해가 발생할 경우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갈 공적 체계가 열려 있음을 피해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당부했다.
디지털성범죄 피해 신고는 카카오채널(031cut) 및 이메일(031cut@gfwri.kr)로 연중 상시 가능하며, 전화상담(031-220-3970) 및 방문상담 접수는 평일 9시부터 18시까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