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진단서 수수료 제각각①-"징수액 형평성 논란"

2009-03-23     조정훈
【서울=뉴시스헬스】조정훈 기자 = 수도권(서울ㆍ경기ㆍ인천)지역 일선 병의원 진료소견서 및 진단서 발급 수수료가 모두 제각각이어서 시민 불만이 커지고 있다.

최근 경제 위기로 한 푼이 아쉬운 상황에서 일부 병의원이 무료, 소액 부과하는 데 반해 다수의 경우 수배에서 수십 배까지 수수료를 챙기고 있다.

그동안 성역(?)으로 자리한 각 병의원의 진단서 등 수수료 공개와 징수액 표준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근거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23일 뉴시스 헬스는 수도권 병원에서 행해지고 있는 '진단서 수수료 제각각'에 대해 3회에 걸쳐 집중 조명한다.

◇병원 진단서 수수료 '천차만별'

황모(43)씨는 최근 보험금 청구를 위해 종합병원에 진단서를 떼러 갔다가 황당한 일을 겪어야 했다.

수술확인서 발급 수수료가 1만원이란 말에 어의가 없었으나 하는 수 없이 요구 비용을 지불했다.

하지만 다른 종합병원이 같은 종류의 수수료를 1000원 정도 받는다는 말에 기가 찰 수 밖에 없었다.

이 처럼 규모가 비슷한 종합병원에서 발급하는 동일한 서류가 한곳에는 1000원, 다른 곳은 1만원을 징수하고 있어 형평성 불만을 털어놨다.

취재 결과 일선 대학병원 및 중대형병원 등의 진단서 발급 비용은 대게 1만원 이었으나, 상해 및 장애 진단서 등 각종 진단서 청구비는 모두 제각각 이었다.

적게는 1000원에서 많게는 수십 배 까지 큰 차이를 나타내는 등 기준조차 없었으며, 이 같은 현상은 수도권을 비롯해 비 수도권지역 다수 병원에서도 적잖게 포착됐다.

특히 같은 증명서를 영문으로 작성하거나, 2~3회 이상 재발급 할 경우 수수료는 높게 부과됐다.

반면 일부 정형외과, 신경외과, 의원 등 규모가 비교적 작은 일부의 경우엔 각종 증명서를 무상 발급해 주고 있어 이같은 형평성 문제가 터져 나오는 것이다.

<관련기사>

병원 진단서 수수료 제각각②-"高 부담, 할증시대(?)"

진단서 수수료 제각각③-"복지부 권고 솜방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