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연사 위험 '변이형 협심증'…'삽입형 제세동기'로 사망률 낮춰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팀, 삽입형 제세동기 효과 입증

2016-08-17     김다운 기자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안정민 교수 (사진=서울아산병원)

[뉴스인] 김다운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삽입형 제세동기 치료가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돌연사로 인한 사망률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라는 연구를 발표했다.

변이형 협심증이란 동맥경화로 인해 심장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일반적인 협심증과는 달리 심장혈관 자체에 경련이 일어나 심장근육에 혈액 공급이 안 되면서 나타난다.

서양인에 비해 한국과 일본 등 동양인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약물복용만으로도 치료가 잘 되지만 일부 환자들은 돌연사에 이르기도 한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박승정‧안정민 교수팀은 지난 1996~2014년 전국 13개 병원 변이형 협싱증 환자 1032명 중 심장마비가 왔지만 심폐소생술로 살아난 환자 188명과 심장마비가 전혀 없었던 일반적인 변이형 협심증 환자 1844명을 비교했다.

그 결과 심장마비가 있었던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사망률은 18.9%에 달했지만, 일반적인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사망률은 8.5%로 나타나 심장마비를 경험한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사망률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장마비를 경험한 변이형 협심증 환자 188명 중 심장마비 후 자동 제세동기를 삽입한 환자와 제세동기를 삽입하지 않고 약물치료만 받은 환자를 비교한 결과, 제세동기를 삽입한 환자에서 사망률이 25%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심장마비를 경험한 변이형 협심증 환자일 경우 약물치료와 더불어 삽입형 자동 제세동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결과로, 변이형 협심증에 새로운 치료지침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삽입형 제세동기 일러스트 (사진=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 블로그)

삽입형 자동 제세동기는 심각한 부정맥이 있는 환자에서 심장 부근에 기계를 삽입하고 전선을 심장에 연결해 부정맥 발생 시 자동으로 전기충격을 가하는 장치다.

그동안 심장마비를 경험한 변이형 협심증 환자에게 약물치료만 진행할지 삽입형 제세동기 치료까지 동반할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의 제약 등으로 인해 전체 심장마비를 경험한 변이형 협심증 환자 188명 중 24명만 자동 제세동기를 삽입했는데, 이 환자들의 사망률은 4.3%였지만 제세동기 치료 없이 약물치료만을 시행한 환자의 사망률은 19.3%로 나타났다.

17일 안정민 교수는 "급성 심장마비의 경험이 있는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경우 약물치료와 더불어 제세동기를 삽입하는 것이 환자의 사망률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는 건강보험에서 급여로 인정받지 못해 꼭 필요한 환자에게도 제대로 된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며 "향후 임상연구를 통해 변이형 협심증 환자의 제세동기의 효용성을 평가해 표준화된 치료방침을 세울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