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랜드에 무슨 일이?…지역업체 상생 깨지나

공추위 집행부 인터뷰 "경영진, 폐광지역 경제활성화 약속 안 지켜"

2016-01-26     신홍관 기자
강원도 폐광지역살리기 공동추진위원회 최경식 위원장이 한 위원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공추위)

[뉴스인] 신홍관 기자  = “현 경영진은 ‘폐광 특별법’에 따른 지역업체 보호를 두고 오랫동안 특혜를 받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 잘못된 것입니다.”

“폐광 후 리조트 운영 20년째 지역업체 배려 정책이 원만하게 추진되던 것을 현 경영진이 들어오면서부터 판을 깨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강원랜드 김경중 부사장 퇴진운동에 돌입한 ‘고한ㆍ사북ㆍ남면ㆍ신동 지역살리기공동추진위원회’(공추위) 집행부 관계자는 뉴스인과 통화에서 강원랜드의 지역업체 보호 외면과 관련해 이 같이 설명했다.

공추위는 특히 폐광지역 경제 활성화를 약속한 현 경영진이 이런 약속은 저버리고 되레 외지업체를 무방비하게 들여오면서 지역업체를 따돌리고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공추위가 이 같이 지역업체 배려 및 보호를 외치고 있는 근거는 1995년 제정된 ‘폐광지역개발지원에관한특별법’(폐특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당시 강원랜드는 고한ㆍ사북 주민들이 주도한 3.3투쟁 끝에 얻어낸 정부와 합의로 ‘폐특법’이 제정되면서 내국인카지노 운영 사업이 가능해졌다.

공추위측은 이와 관련 “강원랜드는 이렇게 설립된 특수목적 법인이지, 일반 공기업이 아니다”며 “현 경영진의 마인드는 철저하게 기업논리로 일관하면서 문제가 발생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추위측은 또 “당시 공추위는 정부와 합의한 주체로서 현재까지도 정부의 약속 이행을 대변하는 역할을 담당해 왔다”며 지역업체 보호의 법적 근거를 확인시켰다.

이와 관련 공추위 김진영 사무국장은 “폐특법에서는 폐광지역 주민들과 기업에 대해 우선 지원 및 우대를 명시하고 있지만, 현 경영진 취임 후 1년 동안 최저가 입찰제도를 강화하는 한편 지역업체가 참여하기 어려운 계약기준을 설정함에 따라 대부분 지역업체들이 경쟁에서 탈락됐다”며 그 사례를 밝혔다.

그는 “소수 특권계층이 아닌 다수에 이익을 준다는 강원랜드의 주장은 지역업체가 자생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놓은 후 방안을 세워야 하는데 현재로는 외지업체를 무방비한 상황에서 들여놓는 꼴”이라고 덧붙였다.

김 사무국장은 또한 “카지노 운영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해환경으로 인한 청소년 교육환경 개선은 물론, 하이원리조트와 연대 강화를 통한 폐광지역 경제활성화 등 지역사회와 약속했던 사업들에 대해 구체적인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며 퇴진 운동에 나설 수 밖에 없는 당위성을 강조했다.

강원랜드의 지역업체 보호 외면을 주장하며 부사장 퇴진운동에 나선 공추위 대원들이 거리행진을 벌이고 있다. (사진=공추위)

김 사무국장은 아울러 “이번 사태는 강원랜드가 당초 설립목적인 폐광지역 회생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공헌하는 것이 마땅하지만, 반대로 현 경영진의 폐광지역을 바라보는 경영진의 왜곡된 지역관이 문제이고 그 사안의 핵심은 김경중 부사장에 있다”며 직접 지목했다.

김경중 부사장의 직접 지목에 대해 김 사무국장은 “이번의 경우 회사경영을 총괄하는 사장의 책임을 묻는 것이 합당하겠지만 현재 경영은 김 부사장이 실질적으로 주도하고 있기에 우선적으로 김 부사장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며 부연 설명했다.

그는 “공추위는 강원랜드의 일방적이고 반지역적인 경영행태가 지속되고 굳어진다면 폐특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폐광지역의 권리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판단한다”면서 “우리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에는 사장을 포함한 경영진 일괄사퇴를 요구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 사무국장은 이어 “이를 위해 이번주 내로 지역 사회단체장 연석회의를 열어 지역의 단결과 힘을 모아 투쟁의 강도를 높여나갈 계획”이라며 투지를 불태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