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치는 일 많은 명절… 상비약 활용법
명절에는 병원이나 약국 중 휴업하는 곳이 많아 응급 상황에 상비약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주부들은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화상, 손 베임 등이 잦고 아이들은 과식으로 인해 잘 체하기도 한다.
29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예기치 못한 상처나 사고가 잦은 명절일수록, 상비약을 필수적으로 구비해 두어야 한다.
명절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칼에 베이거나, 화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경미한 상처나 1~2도의 일반적인 화상은 흐르는 찬물에 상처부위를 씻은 후 식물성분이 함유된 상처치료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분말형태 상처치료제는 진물 또는 출혈이 있는 습성상처, 다친 부위가 넓거나 통증 때문에 연고를 바를 수 없는 상처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처부위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피부가 예민한 여성과 어린이에게 적합하다.
멀미를 한다면 귀성, 귀경길 승차 30분전 멀미약을 복용해 컨디션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특히 어린이는 귀의 평형기관이 성숙하지 못해 쉽게 멀미를 하므로 미리 약을 복용하도록 한다.
운전자는 멀미약, 감기약 (특히 항히스타민제가 들어있는 코감기약), 알러지약 등을 복용할 경우 졸릴 수 있으므로 운전 12시간 전부터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과식으로 인해 체하거나 답답할 때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분해하는 소화제를 복용한다.1~2 끼니를 금식하는 것이 좋고 음식을 섭취할 때는 키위, 사과, 배, 매실 등 소화가 잘 되는 과일과 죽을 먹는다.
또한 명절이나 연휴 중 음식물 관리 부주의, 기름진 음식 섭취, 과식 등으로 장염이 자주 발생한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 탈수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설사, 복통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지사제 복용 후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기존에 구입했던 의약품이 남았을 경우, 유효기간, 잔량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연고제의 경우 유통기한(통상 2~3년)이나 용기 훼손여부를 체크하는 것도 중요하다.
외형에 문제가 없어도 개봉 후 6개월이 지난 의약품은 세균에 의한 감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동국제약 마데카솔 마케팅 담당자는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상비약을 상시 구비하고 사전에 상식을 알아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