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근로자 흡연율…"생산직이 사무직보다 높다"
5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 따르면 1998년부터 2009년 사이 한국 성인 흡연율 변화를 살펴본 결과 생산직 근로자의 흡연율이 사무직에 비해 남성은 최대 1.8배, 여성은 최대 3.3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직업환경의학과 김형렬․장태원 교수팀이 발표한 이번 연구결과는 제1기(1998), 제2기(2001), 제3기(2005), 제4기(2009)로 나눠 25세 이상 64세 이하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그 동안 흡연 인구 추이를 단순 조사한 연구결과는 있었으나 이번처럼 직군별 비교와 흡연 원인을 연구한 것은 처음이다.
조사 결과 남성 전체 흡연율은 1998년 68.9%에서 2009년 50.1%로 18.8%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직군별로는 사무직이 63%에서 42.6%로, 생산직이 70.8%에서 55.7%로 감소했다.
각 직군을 비교한 결과 1998년 남성 생산직 근로자의 흡연율이 사무직에 비해 1.3배 높았다.
이 차이는 2001년 1.54배, 2005년 1.81배로 차이가 벌어지다 2009년 1.38배로 격차가 다소 줄어들었다.
여성의 경우 전체 흡연율은 1998년 5.1%에서 2001년 3.9%로 감소했으나, 2009년 6.1%로 증가했다.
직군별 흡연율은 사무직은 1998년 1.3%에서 2009년에 3.5%로, 생산직은 6.1%에서 10.6%로 증가했다.
1998년 여성 생산직 근로자의 흡연율은 사무직에 비해 2.79배 높았으며, 2001년 1.48배, 2005년 3.37배, 2009년 2.44배로 남성과 달리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팀은 여성 흡연자의 경우 흡연에 대한 사회적 인식 등의 이유로 설문에 부정확하게 답하는 비율이 높아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즉 직군별로 조사한 결과 생산직의 흡연율은 사무직 보다 남성은 최대 1.8배 높고, 여성은 3.3배 담배를 더 많이 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태원 교수는 "우리나라의 흡연율은 선진국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있다"며 "향후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나서 직업군별 특성을 고려한 특성화된 금연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