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때문에… 조기폐경 청소년 5년새 68% 늘어
1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민주통합당 이학영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7~2012년 6월 섭식장애, 빈혈, 조기폐경, 골다공증 등 과도한 다이어트의 부작용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10~30대 후반 여성은 모두 93만8000여명, 총 진료비는 828억원에 달했다.
병원을 찾은 건수는 30대 여성이 가장 많았지만, 섭식장애로 병원을 찾은 비율은 20대가 가장 많았고 10대는 모든 질병에서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10대 여성의 경우 다이어트와 관련된 모든 질병에서 증가폭이 커 심각한 수준이었다. 섭식장애로 병원을 찾은 인원이 2007년 537명에서 2011년 710명으로 32.2% 증가했고, 골다공증은 같은 기간 121명에서 144명으로 19.0%, 빈혈은 2만6726명에서 3만1674명으로 18.5% 늘었다.
무리한 다이어트 부작용으로 월경을 시작할 나이에 오히려 조기폐경으로 병원을 찾는 청소년들도 50명에서 84명으로 5년 새 68.0%나 늘었다. 올 상반기 병원을 찾은 65명을 더하면 최근 5년 반 동안 조기폐경으로 병원을 찾은 청소년은 무려 413명에 달한다. 2007년 23억 9700만원 수준이었던 총 진료비는 2011년 37억여원으로 54%가량 증가했다.
이 의원은 다이어트 부작용으로 병원을 찾는 여성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특히 10대 청소년들의 건강이 우려스러운 수준이나 다이어트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제고와 비만 예방을 위한 보건복지부의 사업은 2009년 '비만 바로알기' 자료집을 제작해 전국 253개 보건소와 관련단체들에 배부한 1억원 예산 사업이 전부라고 지적했다.
그는 "섭식장애, 조기폐경, 빈혈 등으로 고통 받고 있는 젊은 여성들이 점점 늘어나고 잘 먹어야 할 10대 청소년들까지 다이어트로 인한 부작용에 시달리고 있다"며 "이로 인한 우울증, 탈모, 영양실조 등에 시달리는 여성들과 병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여성들까지 감안하면 다이어트로 인한 사회적 부작용이 더욱 심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어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가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제공, 사회적 분위기 제고 등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channa224@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