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플루·결핵 등 8대 감염병 대응…범정부 기술개발 본격화

2012-09-07     정옥주 기자
【서울=뉴시스】정옥주 기자 = 신종인플루엔자, 결핵, 에이즈(AIDS) 등의 감염병에 대한 국가적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해 범정부 차원의 기술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범부처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7일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2012~2016년)'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최근 글로벌화의 진행으로 감염병의 확산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기후변화, 항생제 남용 등으로 확실한 대응책이 없는 새로운 감염병의 발생도 빈번해지고 있다.

이러한 감염병의 확산은 국민건강과 국가경제에 큰 위협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감염병 위기 대처 능력은 중요한 국가경쟁력 요소로 꼽힌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도 감염병 대응을 위한 중점 육성기술 및 분야를 선정해 전략적 R&D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감염병 분야에 투자된 비용은 2009년 기준 약 574억원으로 전체 R&D 비용의 0.5%에 불과하며, 특히 미국 7조6000억원의 1% 수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향후 5년간 관계부처가 이번 추진전략을 공동으로 진행, 우리나라의 감염병 위기대응 능력을 높이고 감염병 진단·치료 기술 등 핵심 기술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르면 8대 중점분야는 신종인플루엔자·다제내성균(슈퍼박테리아)·결핵(재발난치성결핵)·인수공통감염병·만성감염질환(AIDS, 간염 등)·기후변화(기후변화관련 감염병)·생물테러·원인불명감염병 등이다.

기술개발의 시급성이 높고 확산에 따른 사회적 파급력이 높은 감염병을 R&D 투자가 확대돼야 할 중점 분야로 선정했다는 것이 추진위측의 설명이다.

관계 부처는 중점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이 실현될 수 있도록 우선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감염병 R&D의 개별적 추진으로 인한 중복 투자를 최소화하고, 감염병 정책으로의 연계 활성화를 위해 범부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범부처 협의체를 운영하는 등 상시 협조체계를 마련하고, 중점분야별 범부처 공동기획과 융·복합 연구 활성화를 위해 노력키로 했다.

신·변종 감염병 예측 기술과 진단·치료기술 개발이 선제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감염병 대응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기술 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예정이다.

이밖에 다양한 감염병 대응 기술 개발에 적용 가능한 공통기반형 플랫폼 기술개발로 기초·원천연구부터 산업화까지 전주기(One Cycle)로 연결하는 연구개발이 원활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추진위는 "감염병이 미치는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해 마련한 이번 추진전략을 토대로 향후 중점 분야별 세부 투자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또 감염병과 같이 예측이 어려운 분야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통해 의약품 개발 등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hanna224@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