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비전시민회의, 전국대표자회의 성료…여야 의원 한목소리로 “사회적 대화 지속돼야”

2025-11-21     이재영 기자

[뉴스인] 이재영 기자 = 통일과 평화 의제를 중심으로 진보·보수·중도 시민사회가 함께하는 사회적 대화 기구 통일비전시민회의가 지난 20일 서울시여성가족재단에서 전국대표자회의와 시민사회대화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회의에는 서울·부산·대구·경남·춘천 등 전국에서 모인 약 50명의 대표자들이 참석해 조직의 향후 운영 방향을 조율했다.

행사에는 정치권도 여야를 가리지 않고 힘을 보탰다. 민주당 이용선·김영배 의원과 국민의힘 성일종·이성권 의원이 연단에 올라 축사를 전하며, 변화하는 정치 상황과 관계없이 지속 가능한 사회적 대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함께했다.

이번 전국대표자회의에서는 오후 1시부터 약 한 시간 동안 통일비전시민회의의 조직과 운영 체계를 점검하고 활동 재정비 방향을 논의했다.

2019년 출범한 통일비전시민회의는 중도·보수 시민사회 연대단체인 범시민사회단체연합(회장 이갑산)과 경실련, 참여연대 등 진보 시민사회 연대단체인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사회적대화 특별위원장 정강자), 한국YMCA전국연맹(사무총장 김경민), 한국종교인평화회의(원불교 교무 정인성) 등 보수, 진보, 중도, 7대 종교계가 함께 창립하여 남남갈등 해소와 평화통일정책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사회적 대화 전문 민간단체다.

‘민간주도·정부지원’ 체계를 기반으로 통일부와 지자체, 해외동포사회와의 협력 사업을 이어왔으나 최근 정책·예산 변화로 인해 연속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대표자들은 특히 정권 교체마다 사업 기반이 흔들리는 구조적 한계를 핵심 과제로 지목하고, 안정적 제도화 없이 사회적 대화가 지속되기 어렵다는 데 공감했다. 이날 논의에서는 창립 정신을 재정립하고, 정부 변화와 무관하게 유지될 수 있는 독립적 운영 구조 마련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대표자회의에 이어 오후 2시부터는 ‘평화와 통일을 위한 시민대화’가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숙의(熟議) 형식을 통해 한반도 평화정책 방향과 시민사회가 실천해야 할 과제를 공유했으며, 지역 기반의 대화망을 확대해 사회적 갈등을 완화하자는 의견도 제안됐다.

통일비전시민회의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전국 단위 사회적 대화 플랫폼을 재정비하겠다는 계획이다. 관계자는 “사회적 대화가 특정 정부의 의지에 따라 흔들려서는 안 된다”며 “시민사회가 주도하는 독립적 구조를 만들어 한반도 평화정책의 균형을 잡아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