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꺼지지 않는 불…물웅덩이에 잠기게 해 진화"
[뉴스인] 김기현 기자 = 폐차 처리된 테슬라 전기차에서 계속해서 불이 나자 소방관들이 물웅덩이를 만들어 화재를 진압하는 일이 생겼다.
현지시간 23일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소방관들은 최근 테슬라 차 화재를 진압하기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충돌 사고로 폐차장에 옮겨진 테슬라 차에서 이유를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했고 물을 뿌려서 화재를 진압해도 배터리 칸에서 다시 불길이 살아났기 때문이다.
소방관들은 결국 배터리에서 방출되는 가스와 열기로 불이 계속 붙을 수 있다고 결론낸 끝에 배터리 자체가 물에 잠길 수 있도록 웅덩이를 만들었다. 소방관들은 트랙터를 이용해 땅을 판 뒤 여기에 물을 채운 뒤 테슬라 차를 이 물웅덩이에 집어넣어 불길을 잡았다.
소방당국은 웅덩이에 채운 물은 17000L로 건물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양과 맞먹는다고 설명했다. 파커 윌본 소방서 대변인은 "전기차 화재는 소방관들이 이전에는 접해보지 못한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과제"라며 "전기차 화재 진압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말했다.
테슬라의 긴급 대응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세단 모델S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배터리에 직접 물을 뿌려 불을 끄는데 꼬박 24시간이 걸리고, 1만1천∼3만L의 물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새크라멘토 소방서는 실제로 전기차 화재를 진압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은 7만6천∼11만L에 달할 것이라며 이번에는 불이 난 테슬라 차를 웅덩이에 집어넣었기 때문에 물을 아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반 내연기관 차는 불을 끌 때 전기차의 100분의 1 정도인 1000L의 소방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