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헬스】장영식 기자 = 21세기 소비자들은 새로운 구매행태에 적응하느라고 매우 바빠지고 있다.

기존의 소비행태는 주로 직접 시장에 가서 물건을 만져보고 맛보고 하는 등 직접 구매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 인터넷의 등장으로 직접 시장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도 얼마든지 물건을 주문할 수 있게 됐다.

예를 들어 김치 한개만 보더라도 과거 같으면 집에서 다 담가먹던 것을 여러 가지 이유에서 공장김치를 배달시켜 먹는 소비행태가 눈에 익숙해지고 있다.

어디 김치뿐인가? 된장 고추장 게장 장아찌 등 다양한 종류의 식품이 가공되어 우리 식탁위에 오른 지 이미 오래전 일이다.

두부 한모 선택하더라도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원산지 표시와 유통기한을 보고선 구입하는 경향이 일반화 되고 있다. 이유는 유전자 조작콩인지 아닌지 수입산 인지 국내산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현재 우리의 경우 농산물 자급율이 30%에 지나지 않으니, 그만큼 우리의 식탁은 수입산으로 가득 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는 먹기 위해서 사는가? 살기위해서 먹는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운동이 바로 소비자운동이다.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이 안전하고 질 좋은 농수축산물을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소비자운동의 목표 중 하나이다.

생산과 유통 그리고 소비라는 연결 구조가 과연 제대로 돌아가고 있는 것인가? 수입산이 국내산으로 둔갑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대안은 무엇인가? 미국산 수입쇠고기가 들어온다고 해도 그것이 국내산으로 둔갑 안한다는 보장은 없다.

원산지 표시 제도를 그대로 믿고 구입할 수 만 있다면 얼마나 투명한 사회인가?

그러나 이미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은 지 오래전이다. 영광에는 영광굴비가 없고 시골 5일장에도 국내산이 아닌 수입산을 할머니들이 판매하고 있다는 슬픈 소식뿐이다. 소비자의 안전할 권리를 보장하기위해서는 아무리 근사한 표시제도가 도입된다 해도 기본적인 업주의 양심만 못하다는 것이다.

정부가 원산지 표시제도를 강화해 실시한다고는 했지만 실효성의 측면에서 보면 몇 가지 문제가 있다.

현장에서 혼합해 원료를 사용했을 경우 적합한 표시방법이 마련돼 있지 않다.

수입산을 반 정도 넣고 국내산을 반 정도 넣어서 혼합해 사용했다고 표시할 것인가? 또 그 표시를 그대로 신뢰할 수 있겠는가?

정부와 기업은 소비자에게 식품의 안전성 여부에 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야한다.

이물질이 검출되어서 문제가 제기돼도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대답이 없다.

소비자의 안전할 권리와 알권리를 충족하기위해서는 소비자단체의 역할이 필요한 시점이다. 단속권과 감시권을 주어서 정직한 사회가 되기까지 온 국민이 나서야 할 판이다.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