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재활운동 (사진=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뉴스인] 민경찬 기자 = '급성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면 발병 후 6시간 안에 관상동맥 협착 부위를 넓히는 소위 '풍선확장술'을 받아야 한다. 시간이 지체될수록 사망률은 높아지고 심근생존율은 낮아지기 때문이다.

'심근생존율'이란 심장근육이 얼마나 살아남는가를 뜻하는 것으로, 죽은 심장근육은 영구적인 심장 기능장애를 남긴다.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관상동맥 풍선확장술과 스텐트삽입술 또는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수술 등의 전문치료를 받은 후에는 심장재활과 이차 예방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심장재활은 손상된 심장기능을 안정화시키고 정상 운동능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돕는 심장 전문 재활치료 프로그램이다.

급성 심근경색증의 위험한 고비를 넘기고 시술이나 수술이 잘 됐다 하더라도, 손상 받은 심장근육은 심장 본연의 역할인 혈액 펌프기능이 약해져 자세나 운동에 따른 혈압저하, 부정맥 발생 등 여러 위험을 안고 있다.

지난 2014년 미국내과학회지 메이요클리닉 던레이(Dunlay) 박사팀 연구 발표를 보면 1987~2010년 심근경색으로 입원치료를 받고 퇴원한 환자 10년 추적연구 결과 심장재활 비 참여자에 비해 심장재활 참여자에서 10년 간 재입원률 25%, 사망률이 47% 감소했다.

또한 미국심폐재활학회지 2016년 발표를 보면 대만대학병원 후(Hou) 박사팀이 2000~2007년 관상동맥중재술 또는 우회로이식수술을 받고 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10년 추적연구를 한 결과 심장재활 비참여자에 비해 심장재활 참여자에서 10년 간 재시술률은 52% 감소했다.

이처럼 심근경색증 환자에게 규칙적인 운동은 심폐운동기능을 빠르게 회복시키고 운동에 따른 심혈관계의 반응을 안정시킨다.

또 동맥경화증의 여러 위험인자들(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비만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켜 동맥경화증 진행에 따른 재발성 심근경색증, 뇌졸중, 하지동맥협착증, 신부전, 위장관경색 등의 발생을 막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급성 심근경색증’을 앓고 난 후 운동을 시작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반드시 심장재활 전문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 운동에 따른 심장발작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해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운동을 위해 운동부하검사를 통해 운동자극에 따른 심혈관계의 이상반응 즉 협심증 유발, 심전도 이상, 갑작스런 혈압 이상반응, 부정맥 발생 등 여부를 확인하고 심장재활 전문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4일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심장재활클리닉 김철 교수는 "운동 중 심장발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고위험군’ 환자들은 심장기능이 향상돼 안정적으로 회복될 때까지, 심장재활의료진이 지켜보는 가운데 운동을 해야 한다"며 "탈수 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여름철과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겨울철은 헬스클럽과 같은 실내에서 운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효과적인 이차 예방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과 함께 금연, 절주를 실천하고 심혈관 약물의 충실한 복용과 적절한 식이요법과 체중조절, 당뇨와 고혈압에 대한 철저한 자기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