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송재관 교수(왼쪽)와 장은주 교수 (사진=서울아산병원)

[뉴스인] 박소혜 기자 = 그동안 효과적인 약물치료 방법이 없었던 퇴행성 판막질환을 내과적 치료로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서울아산병원은 판막의 석회화를 약물치료로 억제할 경우 질환이 중증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27일 밝혔다.

퇴행성 판막질환의 하나인 대동맥판막 협착증은 나이가 들면서 석회화가 진행돼 순환장애를 일으키는데 기존에는 중증으로 진행됐을 경우 인공판막을 교체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치료법이 없었다.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송재관ㆍ의생명과학과 장은주 교수팀은 실험동물의 판막세포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대동맥판막이 굳어지고 딱딱해지는 석회화를 분석한 결과,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효소인 디펩티딜펩티다제-4(DPP-4)가 대동맥판막협착증에서 과도하게 증가하여 대동맥판막의 석회화를 유발한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전했다.

이 기전을 이용해 현재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DPP-4 억제제를 투여하면 대동맥판막 석회화의 진행이 억제된다는 것도 증명했다.  

연구팀은 DPP-4 억제제의 대동맥판막협착증 치료 용도를 최초로 입증한 것을 인정받아 한국과 미국에서 ‘심장판막 석회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특허 등록에 성공했다.

DPP-4 억제제는 당뇨병 치료제 사용량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별한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약제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 약제들을 대동맥판막협착증 치료제로 적용할 수 있을 전망된다.

현재 연구팀은 범부처신약개발단 연구비를 수주해 다양한 DPP-4 억제제 중 심장판막조직 분포도가 높고 대동맥판협착증 치료제로 최적화된 유효용량을 갖고 있는 약제를 확인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장은주 울산의대 의생명과학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10~15년이 걸리는 신약개발 과정과는 달리 시장에서 이미 사용돼 안전성이 검증된 DPP-4 억제제를 ‘대동맥판막 협착증 치료제’라는 새로운 신약으로 재창출해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송재관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임상의학과 기초과학이 만나 환자에게 직접 도움이 되는 성과를 얻은 성공적인 예로, 추가 임상시험으로 최적의 약물 유효용량을 결정하고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예방 효과도 대규모 임상연구를 통해 입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결과는 최근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약물치료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 최초의 연구로 세계 심장 분야 권위지인 써큘레이션(Circulation)에 실렸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