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인] 마소연 기자  = 영하권 날씨가 이어지면 낙상사고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노면 자체가 얼어 조금만 부주의해도 넘어져 크게 다칠 수 있는데, 추위로 굳은 근육이나 뼈가 크게 다치는 등 골절이 발생할 수도 있다.

낙상으로 인한 골절은 몸의 거의 모든 뼈에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뼈가 약한 노년층이 쉽게 골절상을 입는데, 균형감과 운동능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순간적인 미끄러운 상황에 대처하는 순발력이 부족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노년층의 낙상사고 중 고관절 골절은 흔하지는 않지만, 한번 발생하면 수술을 하더라도 회복하는 데 최소 6개월이 걸리고, 다치기 이전으로 완전하게 회복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무엇보다도 고령자의 고관절 골절은 사망률과도 관계가 있다.

고령의 노인들이 지닌 내과적 질환이 고관절 골절로 누워만 지내다가 2차적인 문제로 나타나기도 한다. 움직이지 못해 심폐나 방광기능이 저하되거나 욕창이나 혈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노인 고관절 골절상 후에 심혈관 질환 등의 다양한 합병증으로 1년 이내 사망률이 25%에 이른다.

18일 힘찬병원 이수찬 대표원장은 "골절이 발생한 부위와 골절로 어긋난 정도에 따라 수술 여부와 종류가 결정된다"며 "경부 골절이 심하게 어긋나지 않거나 나이가 젊으면 주로 나사못으로 골절 부위를 고정하고, 나이가 많거나 경부 골절이 심하게 어긋났을 때 인공관절 수술로 기능을 회복시킨다"고 설명했다.

젊은층에서는 발목과 무릎에 낙상으로 인한 골절이 흔하게 나타난다. 미끄러지면서 발목이 삐끗해 생기는 '발목 염좌'는 내버려두면 만성 통증에 시달리거나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지만, 대부분 가벼운 통증으로 넘기는 경우가 많다.

낙상으로 무릎이 꺾이거나 돌아가면서 무릎 관절 안에 있는 연골판 또는 인대 등이 손상을 입으면 퇴행성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무릎의 인대나 연골판이 손상되는 경우 연골 간의 충돌이 생겨 쉽게 뼈 연골이 손상될 수 있는데, 한번 손상된 연골은 회복이 힘들어 외상으로 인한 관절염이 빨리 진행될 수 있다.

겨울철 넘어져 다쳤을 때는 별다른 외상이나 큰 통증이 없어도 병원에서 검사와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빙판길 낙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적은 보폭으로 걷는 것이 중요하다. 바닥 표면과 신발 밑창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할수록 예기치 않은 미끄러짐 가능성이 높으므로 밑창이 밋밋하기보다 요철 모양이 있는 것을 신고, 밑창이 닳았다면 교체가 필요하다.

고령자의 경우 주택에서 낙상사고의 약 72%가 일어나는 만큼 실내에서도 미끄럼 방지 매트나 카펫 등을 깔고, 화장실 바닥의 물기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바닥에 미끄럼 방지 스티커 등을 붙이거나 욕조 옆에는 손잡이 등을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골 밀도 감소에 의한 골다공증으로 뼈가 약해진 노인들은 골절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평소 골밀도를 높이는 운동과 식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