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인] 마소연 기자  = 유전성 자폐증이 아닌 환경적 요인에 의한 자폐증도 증손자 세대까지 유전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찬)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자폐 범주성 장애가 3세대에 걸쳐 유전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자폐 행동 개선 치료 물질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건국대학교 신찬영 교수(의과대학 약리학교실)팀의 연구에 따르면 환경인자(발프로산)에 노출된 자폐 동물모델에서 자폐 유사행동인 사회성 결여와 과잉행동이 3세대에 걸쳐 유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팀은 자폐 발병기전인 흥분성·억제성 뉴런 불균형을 관찰했으며 내인성 신경조절물질로 알려진 '아그마틴'을 투여한 결과 사회성 결여 개선 효과와 과잉행동 억제 등 자폐 행동 개선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아그마틴(Agmaine)은 최근 우울증, 허혈성 뇌졸중, 뇌전증, 정신질환 등 뇌 신경질환의 치료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는 물질이다.

자폐범주성 장애(자폐증)는 사회적인 상호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같은 행동을 수행하는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성 장애로, 과잉행동, 경련, 지적장애, 불안, 감각 이상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매년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지만, 그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한 명확한 연구 결과는 없는 상황이다.

신찬영 교수는 "유전성 자폐범주성장애 뿐 아니라 환경인자에 의한 자폐범주성장애가 손자·증손자 세대까지 걸쳐 유전될 수 있음을 밝혀 앞으로 환경성 자폐유발인자 관리와 치료제 개발의 토대를 확립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뉴스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